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04건 검색되었습니다.
"펌프 돌려 깨끗한 물 얻어요"...지구 위한 과학기술 선보인 과학축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독성물질 비소에 오염된 물을
전기
없이도 정화할 수 있는 장치다. 전한결 연구원은 "
전기
나 정수 장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라오스 등 동남아 지역의 사람들은 알면서도 비소가 섞인 물을 먹는다는 사실을 알고 마음이 아팠다"며 기술을 개발하게 된 사연을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 ...
우울증 스스로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나노 센서를 만들었다. 센서가 세로토닌과 반응하며 발생한
전기
적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체내 세로토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센서는 실제 세로토닌이 포함된 인공 체액에서도 높은 정확도로 세로토닌 농도를 측정해 임상시험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권 ... ...
김형준 KIST 소장 "뉴로모픽 반도체 국가전략무기화 기반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개발했다. KIST 제공 그 결과 연구팀의 대표적 성과로 특정 시점에 발생하는 스파이크(
전기
자극)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스파이킹 신경망(SNN)’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한 뉴런에서 스파이크가 발생하면 이 뉴런과 연결된 뉴런들을 기반으로 정보를 찾거나 입력하고 출력한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 ...
인공 신경으로 척수 손상된 쥐 다리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신경 손상 환자 재활을 위해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 등 컴퓨터로 제어되는 신호로 근육에
전기
자극을 가해 근육 수축을 유발하는 방식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디지털 회로나 컴퓨터가 필요하고 생체적합성이 부족해 환자가 오랜 시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태우 서울대 ... ...
역대급 가뭄으로 프랑스 원전 절반 가동 멈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5
수력발전은 유럽의 중요한 에너지원이지만 강과 저수지의 물부족으로 현재 시설의
전기
생산 능력이 크게 감소했다. 보도에 따르면 유럽 전반적으로 수력발전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20% 감소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전력의 5분의 1을 수력에서 얻고 있지만 지난 12개월간 전력 생산량이 40% 감소했다. ... ...
[주말N수학] 데이터통신 최대 정보량, 수학으로 풀어낸 91세 수리물리학자
수학동아
l
2022.08.13
물리학자 매튜 샌즈 교수를 만난 계기로 물리학에 푹 빠지게 됩니다. 입학 당시에는
전기
공학을 전공하려고 했지만 물리학을 공부해 보니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처럼 실제 세계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점에 큰 매력을 느꼈다고 합니다. 리브 교수는 “수리물리학은 우리가 ... ...
휴대전화케이스·영수증에 쓰이는 물질, 뇌 기능 저하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실험용 쥐에 물질을 노출시킨 뒤 대뇌피질과 해마에 있는 시냅스 형성 기능을 확인하고
전기
생리학적 평가와 행동 시험을 시행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신경충돌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BPA에 노출된 쥐는 시냅스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수상돌기가시의 개수가 ... ...
전기
차 배터리 성능 저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성능저하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장원영 책임연구원은 “최근
전기
차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며 주행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의 안전 상한선을 최대한 활용하는 설계가 사고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며 “배터리를 화재 위험 없이 긴 주행거리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항체 활용한 신개념 생체 형틀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1
금속 구조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생체 형틀법은 촉매뿐만 아니라
전기
화학 및 바이오센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생명과학과 연구팀이 대사질환 표적 단백질인 '페록시솜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 ...
채혈 검사 부담되는 당뇨병 진단, 심전도로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9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심전도는 심장이 뛰면서 일어나는 심장의
전기
적 활동을 그래프상에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국내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2형 당뇨병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진단은 공복상태에서 채혈검사를 통해 이뤄지는 만큼 피검사자에게 부담이 됐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