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위와 인체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된다. 남극은 날씨가 워낙 추워 감기 바이러스가 대기 중에 생존할 수 없다.감기가
겨울
에 많이 ‘행차’하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날씨가 추우면 몸의 열을 많이 빼앗기고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가 커서 몸의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결국 추위는 인체대사의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절대 식물을 먹지 않으며, 전적으로 살아있는 동물만 먹고 산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겨울
잠을 자지 않고 눈위를 힘차게 기어다니는 뱀은 왜 나타날까.해답은 간단하다. 뱀은 동면장소를 잘못 선택해 불편하면 동면장소를 옮기려고 잠에 깨어난다. 설상사는 이런 이유로 굴밖으로 나오다가 매서운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일이다. 망원경을 들여다보고 있던 천문대의 대장인 주세페 피아치(1746-1826)의 속눈썹이
겨울
밤 찬 공기 속에서 파르르 떨렸다. 피아치가 이끄는 천문대에서는 수많은 별들의 위치를 이전보다 정확하게 관측하던 중이었는데, 우연히도 배경별들 사이에서 낯선 ‘별’ 하나가 눈에 들어왔기 ... ...
이毛저毛 털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신진대사가 활발한 청소년기에 빨리 자란다. 하루 중에는 밤보다 아침에, 계절적으로
겨울
보다는 여름에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하기 때문에 털이 빨리 자란다. 그리고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 털이 빨리 자란다. 한편 이발 또는 면도를 하거나 털을 깎으면 털이 빨리 자란다는 ... ...
알레르기 한
겨울
에도 기승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일으키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환기시켜 이들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겨울
철이나 환절기에 심해질 수 있는 알레르기 천식과 비염에 걸렸을 경우 우선 알레르기 증상인지 아닌지부터 구별해야 한다.하지만 일반인들이 직접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으므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 ...
안드로메다 은하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초
겨울
저녁 남서쪽하늘에서는 아직 가을철별자리를 찾아볼 수 있다. 밤하늘의 거대한 창문, 페가수스 사각형의 왼쪽 위에 있는 별 알페라츠에서 안드로메다자리가 시작된다. 안드로메다은하는 공주의 오른쪽 무릎에 해당하는 뉴(v)별 근처에 있는데, 맨눈으로 보면 희뿌연 구름 같아 보이지만 ... ...
1. 독가스를 난방연료로 둔갑시키는 재주꾼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산소와 결합해 완전히 연소돼 냄새가 나지 않는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는 것이다.
겨울
철 난방용구인 팬히터에도 역시 촉매를 장착한다. 불을 켤 때와 끌 때 석유의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냄새를, 촉매를 이용해 완전연소를 유도해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와 물로 정화시켜 준다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같은 방향에 놓여 나란히 빛나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다. 이번
겨울
이 지난 후 다시 이와 같은 모습을 보려면 2059년 11월까지 기다려야 한다.갈릴레이위성의 숨바꼭질태양계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지름이 지구보다 11배나 더 크다. 목성은 크기도 거대하지만 표면에서 햇빛을 잘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북쪽하늘에 7개의 별이 국자 모양으로 모여 있는 모습이 우리에게 친숙한 덕분이다.
겨울
철에 흔히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찌그러진 H자 모양을 하고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세개의 별이 눈에 띄는 특징을 이루기 때문이다. 동쪽에서 휘영청 밝게 떠오르는 보름달에도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광학계로 허셜이 직접 고안했다. 이 망원경은 높은 곳에서 관측해야 했으므로 추운
겨울
에는 고생이 심했으며 잘못해서 밑으로 떨어진 관측자도 많았다고 한다.이 망원경으로 쉴새없이 관측에 매달린 끝에 1787년 천왕성의 위성인 티탄과 오베론을 발견했으며 호이겐스가 발견한 화성의 극지방에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