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화성의 동물이나비슷한 예로 저는 어렸을 적 하늘에서 구름처럼 위장하고 있는 UFO를 본 적이 있습니다. 원반 모양에 창문이 줄지어 나 있는 모습이 딱 UFO더라고요. 그뿐인가요. 수시로 모양이 변하는 구름을 쳐다보고 있으면 온갖 게 다 보입니다. 용이든 불사조든 유니콘이든 상상력만 뒷받침되면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날씨가 추워지면 광합성을 하기 쉽지 않아. 게다가 추위에 잎들이 얼기라도 하면 식물 본체까지 큰 해를 입을 수도 있고 말이야. 그래서 식물은 호르몬을 조절해 잎의 엽록소가 사라지게 만들어. 그러면 잎 안에 있던 다른 색소들이 모습을 드러내 잎이 붉고 노랗게 물들지. 식물은 더 이상 광합성을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래서 알고 보니 수학동아를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만 5년 동안 한 호도 빼놓지 않고 본 열혈독자다. 매달 수학동아가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린다는 안창호 선생님을 지금 바로 만나 보자.청소년 수학잡지를 손꼽아 기다리다2009년 9월, 수학잡지가 나온다는 소식을 접한 안창호 선생님은 설레는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리했다. 모두 9개의 글자를 찾을 수 있었다.수지가 있는 곳을 알아내다!9개의 글자를 본 소마는 이것이 암호라는 것을 한순간에 알아챌 수 있었다. 좀처럼 쓰이지 않은 글자는 물론이고, 악보의 맨 오른쪽 아래 같은 위치에 같은 글씨체로 글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소마는 글자를 유심히 ...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동료 사진기자의 소개로 알게 된 작품을 보면서 새로운 기법에 도전했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작품을 발표했는데, 초기 작품은 물속에서 노는 물고기다.자, 이리와서 함께 춤추자!붉은색 문어가 강렬하다. 이리저리 꼬여있는 다리가 마치 함께 춤추자며 금방이라도 관객을 끌어들일 것 같다.작은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만여 명에 달했다.남은 생애 평생 가위에 눌려 산다‘누구나 한 번쯤 가위에 눌려 본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의식은 잠에서 깨어났지만,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어 식은 땀을 흘릴 정도로 고통스러웠던 경험. 루게릭병 환자는 이와 같은 상태로 발병 후 평생을 지내야 합니다.’박 씨는 루게릭병을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몸소 체험한다는 것, 예상할 수 없는 곤충의 공격에서 자신을 방어하고 살아가는 식물을 본다는 것,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밤에 수십, 수백km를 날아와 식물의 수정을 도와주는 나방을 직접 만난다는 것. 이 모든 것들이 전공에 상관없이 야생 담배에 대해 알고 싶은 마음을 불러일으켰으리라. ...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물론 아니랍니다. 심지어 친척도 아니에요.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고,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완전 남남이지요.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도 닮았을까요? 아니 어떻게 이렇게 닮은 사람들을 찾아 낸 걸까요?작가소개프랑수아 브뤼넬(Fran ois brunelle)은 서로 닮은 사람들 사진으로 유명한 캐나다의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겼던데, 둘이 어떻게 다른 거죠? -이진주(대전 중앙초 6)엘라티오르베고니아 처음 본 사람들은 장미라고 착각할 정도로 꽃 모양이 장미꽃과 매우 비슷해요. 그래서 ‘장미베고니아’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구근베고니아와 베고니아 소코트라나를 교배해서 1885년에 만들어졌어요. 실내에서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살펴보았듯이 서양과 동양의 방정식은 당시 상황과 문화를 토대로 방정식을 바라본 관점도 모양도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방정식을 풀고자 했던 수학자들의 열정만은 동, 서양에 관계없이 같지 않았을까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