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리 은하 외부의 고에너지 중성미자를 관측하는 시스템이다. 박 교수는 “페타전자볼트(PeV·1000조eV) 수준의 중성미자 신호가 감지됐다”며 “기존에 알려진 중성미자 소스들로는 나올 수 없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아이스큐브 연구팀은 박 교수의 이론을 토대로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더 낮은 온도에서도 변형을 일으키는 소재를 사용하고, 스스로 접히도록 설계도 바꿔볼 생각”이라고 말했다.아이디어와 소재가 핵심4D 프린팅의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좀더 편리하게 집을 지을 수도 있다. 3D 프린터로 집을 짓는다면 어마어마한 크기의 프린터가 필요하다. 여기에 4D ...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커졌다. 조 부장은 “올해 입학설명회의 현장 분위기로 볼 때, 작년보다 과학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전남과학고는 1단계 서류평가 및 출석 면담과 2단계 소집 면접을 통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1단계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와 교사추천서, ...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앞을 볼 수 없는 밤이 되면 더욱 잦아졌지요. 윌슨 교수팀은 “청어떼가 서로의 모습을 볼 수 없는 밤이 되면 방귀 소리로 의사소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성 억제최도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이번 연구의 가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며 “하나는 유전자 지도의 완성도를 크게 높였다는 점, 다른 하나는 꽃의 색깔과 향기의 연관성을 밝혀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염색체 14개에 들어있는 월계화의 DNA ...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완벽하게 이뤄졌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발사였다. 독자들이 이 책을 받아볼 때인 5월 말쯤 필자는 다시 삼척에 있을 것이다. 바람 방향이 바뀌는 6월 전에 시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그 때는 완벽하게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관중_kjyee@snu.ac.kr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현 ...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낮아진다. 박 교수는 “전자의 크기는 작은구슬, 양성자는 야구공, 중입자 같은 원소는 볼링공에 비유할 수 있다”며 “크기가 큰 중입자로 DNA를 직접 친다면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지점에서 방사선량이 최고에 이르는 만큼 치료 ...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렇게 하면 계산에 꼬박 스무 시간은 걸릴 것이다. 그러면, 그 결과를 내일 오전 중에 볼 수가 없고 정리해서 제출할 수도 없다. 그러면 체육대회에 갈 수가 없는데. 김 박사는 체육대회에 가기 전에 계산을 끝내기 위해 다른 방법을 궁리해 보았다. 그렇게 궁리하다 보니, 레이저 빔으로 소행성을 ...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 보다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쉬워진 논술이라면 해볼 만하지 않겠는가? 단, 쉬울수록 기본에 충실한 것이 중요하므로, 논술고사 본연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을 하도록 하자 ...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확인한 결과, 그 내용은 정확했지요.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으니 라이스는 칼 라인하르트를 빼면 수학자들보다 테셀레이션을 더 많이 찾은 셈이에요. 슈퍼컴퓨터를 쓴 것도 아닌데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