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맞이하여 부모님과 청송으로 여행을 다녀왔어요. 청송에선 자연의 신비인 ‘꽃돌’을 볼 수 있었어요. 기자단 친구들에게 꽃돌이 무엇인지 소개하려고 해요. 땅속의 뜨거운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올라올 때, 마그마의 중심부와 바깥 부분의 식는 속도가 달라 다양한 꽃무늬가 만들어져요. 국화,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형태로, 펩타이드 치료제는 소량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차세대 약물로 꼽힌다. 단백질과 구조가 유사해 거부 반응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혈액 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이중 가교’ 기술을 통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깝게 만든다. 팔 근육의 회전력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다. 팔꿈치 관절을 회전축으로 볼 때 근육의 회전력은 근육의 힘(주로 상완이두근)과, 관절에서 힘의 작용선에 이르는 수직거리(모멘트 암)의 곱이다. 그런데 모멘트 암은 팔의 각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주먹을 테이블 가까이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완벽하게 이뤄졌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발사였다. 독자들이 이 책을 받아볼 때인 5월 말쯤 필자는 다시 삼척에 있을 것이다. 바람 방향이 바뀌는 6월 전에 시험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다. 그 때는 완벽하게 성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관중_kjyee@snu.ac.kr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현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 보다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쉬워진 논술이라면 해볼 만하지 않겠는가? 단, 쉬울수록 기본에 충실한 것이 중요하므로, 논술고사 본연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을 하도록 하자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달걀, 놀이동산, 버스, 나비, 축구 같은 실생활과 밀접한 소재로 이뤄져 있는 문제를 많이 볼 수 있다. 여전히 ‘미제승냥이’나 ‘인민군 행진’과 같은 소재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북한 수학 교육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온 이정행 미국 나약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북한 수학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미생물을 말해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지만, 막대 모양, 공 모양, 원통 모양 등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지요. 양분을 먹고 유기물을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혼자서도 살 수 있답니다.박테리아는 자연이나 다른 생물의 몸 등 지구 곳곳에 살며 음식을 ...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먼저 만나 볼 사냥꾼은 공기청정기야. 대부분의 집에 한 대씩 있는 공기청정기가 뭐가 신기하냐고? 이 공기청정기를 보고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을까?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도 잡고 반지도 만든다고?올 겨울,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의 피해가 유독 심했어요. 실제로 지난 1월에는 서울 일부 지역의 ...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과거 가축을 키우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1970년대 이후부터 볼 수 없게 됐어요. 현재 소똥구리는 환경부가 지정한 ‘지역절멸’ 종이에요. 야생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는 뜻이지요. 전문가들은 소똥구리가 먹이와 서식환경이 변해서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해요.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특수한 경우라도 랭글랜즈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순간 난제를 다른 분야에서 접근해 볼 수 있는 문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등장한 뒤 약 50여 년 동안 아직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놀라울 정도로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이전의 방법으로는 불가능 했던 정수론의 여러 난제를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