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중에 떠 있는 여러 냄새 물질을 한 번에 구분하는 전자 코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후각은 냄새를 맡는 감각을 말해요. 흔히 냄새를 잘 맡는 사람을 ‘개코’라고 하는데, 그만큼 개는 뛰어난 후각 능력을 가진 동물이에요. 개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억 개 이상의 후각 세포를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파는 셀로판 테이프에 연필심을 문지른 다음 떼어내서, 연필 가루만 얇게 얻는 데 성공하거든요. 이 얇은 연필 가루가 바로 차세대 탄소 물질로 널리 알려진 ‘그래핀’이랍니다. 그래핀은 전기를 잘 통과시키고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어 휘어지는 TV나 컴퓨터를 만드는 아주 중요한 재료예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다이어트 전문가 ‘ 바비 부러우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특별한 메뉴가 숨어 있습니다. 그걸 찾아 큰 소리로 읽어 주세요! 썰렁홈즈, 다이어트 성공? 실패?썰렁홈즈가 특별 메뉴를 찾아내자 바비 부러우니가 음식을 날라다 주며 말했다.“보통 한두 메뉴만 맞히던데 썰렁홈즈님은 5개 메뉴를 다 맞히셨네요. 아하하하하….”그랬다. 바비 부러우니의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속에서 마크 와트니는 1997년 임무를 종료한 패스파인더를 수리해 지구와 통신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패스파인더로 지구와 교신을 하려면 화 성 인공위성들의 중계를 거쳐야 한다.실제로 현재 화성에는 미국항공우주국의 ‘마스 오디세이’와 ‘화성정찰위성’, 유럽우주국의 ‘마스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가는 로켓을 만들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들어요. 미세한 차이로 로켓의 미션 성공과 실패가 갈릴 수 있거든요. 특히 로켓에 실리는 인공위성이나 탐사 로봇 등은 무게와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여야 해요. 그래야 연료가 적게 들고, 로켓에 실리는 연료의 무게도 줄일 수 있지요. NASA에서는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이상임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무게가 68mg인 아주 작은 소금쟁이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해 유명 과학학술지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소금쟁이로봇은 실제 소금쟁이처럼 가늘고 긴 다리에 얇고 긴 몸체를 갖고 있어요. 로봇의 몸 전체를 하나의 평면 판에 만든 뒤, 잘라 접어 몸을 작고 얇게 ... ...
- 날아라! 태양광 무인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개발한 무인비행기가 시험 비행에 성공했어요. 이번에 개발된 무인비행기 이름은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EAV-3’예요. 이름 그대로 높은 고도에서 태양에너지로 날 수 있는 무인비행기지요. 9시간의 시험 비행에서 약 5분 동안 고도 14km 이상의 성층권을 날았답니다.보통 비행기는 대류권인 고도 1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 민병권 센터장은 인공광합성 장치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식물에서는 엽록소가 빛을 에너지로 사용하도록 도와 줘요. 광합성 과정의 핵심이지요. 인공광합성에서는 태양전지기술이 엽록소의 역할을 대신해요. 이 기술이 만든 전기가 물을 산소와 수소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천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이런 천체들과 충돌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해왕성 탐사에 성공한 보이저 2호도 카이퍼 벨트 방향이 아닌 다른 쪽으로 비행 경로를 바꿨지요.과학자들이 카이퍼 벨트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또 있어요. 태양과 멀리 떨어져 있는 카이퍼 벨트에는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개발했어요. 그리고 이를 이용해 지난 5월 서울에서 부산까지 자동차를 운행하는 데 성공했어요.이 교수팀이 이용한 식물 플랑크톤은 테트라셀미스(Tetraselmis)로,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특별한 양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빠른 속도로 증식하는 특징이 있지요. 충분한 해양 배양장이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