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국내에서는 전 교수가 피부에 있는 미세혈관이나 모세혈관을 칩 위에 배양하는 데
성공
, 가장 최근에는 2015년 ‘플로스원’등에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탯줄에서 떼어 낸 표피세포는 칩 위에서 스스로 자라면서 지름이 30~50μm 정도 되는 관으로 성장했다. 전 교수는 이 혈관이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에오트보스 로란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야외에서 드론 10대를 군집비행시키는 데
성공
했습니다. 리더 드론 1대를 나머지 드론 9대가 따라 비행하는 ‘선도추종’ 기법을 썼습니다. 새떼의 편대 비행을 모방한 방식이죠. 리더 드론과 자기 자신의 상대적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JPL)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개념 혜성 탐사로봇 ‘헤지호그’의 모습을 9월 3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 지난 6월 우주의 미세중력권에서 동작 실험을 한 결과 부드럽거나 거친 표면 모두에서
성공
적으로 작동했다. 제작비도 기존 로버보다 저렴하다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열심히 노력해서 실력을 쌓는 것도 방법”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인생의 목표를 (경제적
성공
이 아닌 다른 분야로) 재설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질투가 인간의 유일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사람은 ... ...
[수학뉴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땅에서 풀이 자라나면 얼룩말이 뜯어 먹습니다. 얼룩말은 육식동물인 사자가 잡아먹습니다. 사자가 죽으면 미생물이 사체를 분해해 땅을 비옥하게 만듭 ... 생태계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성질과 포식자 전략의 관련성을 수학적으로 밝혀
성공
적으로 일반화했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대화법이다. 상상력과 유머로 살아남기마크 와트니가 지구와 충분히 교신하는 데
성공
할 수 있을지, 구조되기 전까지 화성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생명을 포기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와트니는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생존 방법을찾는다.만약 먼 미래에 화성에서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팀도 있어요. 최예원 학생은 “마트에서 ‘허브’가 엄마의 심부름을 무사히 마치면
성공
하는데, 다른 사람들과 부딪히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고난이도일수록 마트의 손님이 더 많게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나요? 다음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생각하느냐가 자존감이다. 한 가지 알아둬야 할 점은 자존감이 눈으로 보이는 객관적인
성공
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남들에게는 ‘엄마친구아들’로 비치는 완벽한 사람이 자존감이 낮을 수도 있고, 크게 내세울 것 없는 사람이 만족하며 살 수도 있다. 결국 자존감은 내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전문가를 함께 일할 동료로 뽑을 때 그래닉 교수가 중시하는 덕목은 무엇일까. 그는 “
성공
적으로 무언가를 해내고자 하는 ‘열정’을 본다”며 “그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방대한 연구 분야를 관리하려면 그런 동료를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지금까지 높이 13m인 시제품 ‘볼텍스 미니’를 이용해 4kW의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
했고, 컴퓨터 하나를 돌릴만한 100W급 ‘볼텍스 아틀란티스’(높이 3m)와 1000여 명이 쓸 수 있는 1MW급 ‘볼텍스 그랜’(높이 150m)도 개발 중이다.볼텍스는 회전하는 부품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매우 싸다는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