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d라이브러리
"
지속
"(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유전자 맹신론을 경계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지금까지의 양상과 오늘날의 모습으로 미루어 보건대 적어도 당분간 유전공학의 발전이
지속
되리라고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전공학이 인류의 진정한 힘으로 작용하려면 앞에서 제기된 문제들이 우선적으로 해명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도 인간복제 등 유전공학의 무한한 활용에는 여전히 ... ...
철분이 많으면 공부 잘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10대 소녀를 대상으로 6주 간 하루에 두 번씩 철분 정제를 먹였다. 이 소녀들의 집중력
지속
시간을 조사한 결과 철분을 먹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가 나왔다.몸에 철분이 부족한 것은 비교적 흔한 일이다. 보통 사람의 20%, 10대 소녀의 15% 정도가 철분이 결핍돼 있다. 그러나 의사들은 빈혈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생각했다. 이러기 위해서는 대기와 표면, 그리고 내부에 대해 적어도 1년 이상을
지속
적으로 모니터해야 한다.그리고 보다 경제적으로 화성을 탐사하기 위해서 극궤도 우주선에 각종 기기를 탑재해 동시관측이 가능한 다목적 설계가 요구됐다. 92년 발사된 마르스옵서버는 바로 이런 개념에 맞춰 ... ...
오르가슴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입구가 확대된다. 흥분기가 지나서 고조기로 접어들면 흥분이 높은 수준에서 수분 동안
지속
되다가 마침내 오르가슴에 이르게 된다. 회복기에는 성적 흥분이 사라지면서 음경은 위축되고 질은 원상으로 되돌아간다.오르가슴은 극단적 쾌감을 불러내는 성적 경험의 절정 상태이다. 남자의 경우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일어난다고 말한다. 하지만 역전층은 대기오염의 주범이 아니다. 다만 대기오염현상이
지속
되도록 돕는 공범 역할을 할 뿐이다.역전층이 발생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 다만 미리 알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역전층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역전층이 ... ...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위해 상담교수를 배치하고, ‘대학생을 위한 심리학’ 등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17년간
지속
된 영재반을 통해 배출된 학생은 6백30여명(여학생 13%). 현재 졸업생의 70%이상이 외국 유학 중이다. 영재반 출신의 과학자들이 특별한 성과를 거두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지만, 서서히 두각을 ... ...
3. TV로 인터넷을 인터넷으로 TV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방송과 통신, 컴퓨터 기술이 하나로 통합되는 추세가
지속
된다면 방송사가 현재 누리고 있는 매체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는 무의미해진다.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전송서버만 있으면 누구나 인터넷에 방송사를 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쇄매체와 전파매체로 ... ...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미래에 대한 호기심과 후회로 가득한 인생의 순간들을 되돌리고 싶은 인간들의 욕구가
지속
되는 한 시간여행은 계속해서 우리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것임이 틀림없다.‘시간여행이 과연 가능한가’ 하는 문제가 진부함에도 꾸준히 진지한 논쟁거리로 남아 있고, 타키온(tachyon, 빛보다 빨리 달리는 ... ...
2. 다이어트 섬유소·단백질·시트로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영양전문가와 의사로 구성된 건강관리팀의 진단을 받고, 처방된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지속
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잃는다”는 말은 체중감소에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제품이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을지라도 올바른 식품 선택법과 생활습관을 ... ...
1. 세계는 왜 중국을 두려워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30대 후반부터 40대 과학기술 중견인재를 찾기 힘들다. 50여년
지속
된 폐쇄적 사회분위기와 1966년부터 10년간 중국대륙을 강타한 문화혁명의 후유증 때문인 듯하다.중국의 어느 대학에서나 30대나 20대에 정교수가 된 사람이 적지 않다는 것이 이런 추측을 뒷받침한다. 물론 능력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