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잘 안 들리는 것은 전파가 터널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터널에 의해 전자기파가
흡수
되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근래에는 무선수신장치를 설치한 터널이 많아 대부분의 터널에서도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라디오의 크기가 크면 알루미늄 포일만으로 터널을 만들었을 때 지지되기가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뿜어졌다고 한다.그 중에서 51억t은 광합성에 의해 육지에서 재
흡수
됐고,74억t은 바다로
흡수
됐으며 나머지 1백5억t은 0.03%를 유지하고 있는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바닷물에 녹아 들어간 이산화탄소는 약산인 탄산(H₂CO₃)을 만든다(CO₂+H₂O→H₂CO₃)탄산은 두 단계로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꾸준히 열대림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 밀림은 적도에 쏟아지는 태양열을
흡수
해 지구 전역으로 분산시키는 완충막 역할을 하고 있다. 만약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지상을 직접 달궈 엄청난 상승기류를 일으켜 기상이변을 초래할 수 있다.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량도 늘어나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클립 끼우기S자형으로 말아 놓은 종이에 클립을 끼워 종이 양끝을 잡아당긴다.클립이 서로 연결돼 튀어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왜그럴까? ... 손수건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세관 현상은 나무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뿌리가
흡수
한 물이 잎 끝까지 올라가는 것이 바로 모세관 현상이다 ... ...
잎맥 만들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뿌리에서
흡수
한 물이나 잎에서 만들어낸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다.잎에서 잎살을 제거한 후 잎맥을 자세히 살펴보자.왜그럴까?식물의 잎은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녹색의 기관이다. 잎몸·잎자루·턱잎 등이 갖추어진 잎을 완전잎(그림), 이 중에서 어느 한두 개가 없는 것을 불완전잎이라고 한다 ... ...
수증기로 성냥불 켜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알갱이들 사이에는 인력이 강해 일정한 모습을 갖는다. 물(액체)은 얼음이 에너지를
흡수
한 것으로, 알갱이들 사이의 인력이 고체보다 약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 수 있다. 수증기(기체)는 에너지가 가장 높은 상태로 알갱이들 사이의 인력이 거의 없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기체는 약한 인력 ... ...
Ⅱ. 신나는 과학수업의 현장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조금 알 것 같더라니까”“너희 조 가설은 뭔데?”“종이 색깔의 진하기에 따라 물의
흡수
정도가 다르다는 거야.”“실험 설계는 어떻게 했는데?”“그건….”탐구는 고기가 아닌 고기 잡는 법탐구? 가설? 대학 입시에 치여 진도 따라가기도 바쁜 학생들한테 어울리지 않을 법한 용어를 사용하는 ... ...
의료용 방사선 영상 계측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화학물질을 인체에
흡수
시킨다.
흡수
된 물질은 인체의 각 부위로 퍼져 가는데, 이때
흡수
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 최종 도착지가 달라진다.요오드화합물인 경우에는 갑상선 쪽으로 모이고, 포도당인 경우에는 뇌 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 화합물 속에 들어있는 방사성동위원소가 인체 내부에서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지렛대의 원리는 물론이고, 굴림 막대가 바퀴의 역할을 한다는 것, 그리고 나무가 물을
흡수
하면 팽창한다는 점 등을 훤히 다 깨닫고 있었다는 얘기다. 여기에 서로 돕고 사는 공동체 생활도 큰 몫을 했다. 강화도 부근리에 있는 고인돌 덮개돌은 무게가 무려 1백여t이나 된다. 이렇게 거대한 고인돌을 ... ...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정도다. 그러나 태양과 거의 흡사한 빛을 낸다는 장점이 있다.형광등은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
했다가 방출할 때 발생하는 빛을 이용한다. 한쪽 전극의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안에 채워져 있는 수은증기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얻었다가 잃으면서 빛을 낸다. 이때의 빛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