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원리와 활용,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으로 나눠 가르칠 예정입니다. 이번 달에는 가장 첫 부분인 인공지능의 이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공지능의 이해TV에서도 인터넷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단어 인공지능. 인공지능에 사용되는 과학수학 원리를 배우려면 먼저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흘러들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해수면 │바다가 강을 잠식하다기후변화로 한강을 가장 극적으로 변화시킬 요인은 해수면 상승이다. 지난해 국립해양조사원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30년 동안 한반도 해수면을 관측한 자료를 보면, 한반도의 평균 해수면은 매년 3.12mm씩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한 해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폰 노이만 병목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AI를 연구할 때엔 가장 큰 한계로 작용한다.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필요한 전력도 대규모 서버 운영이 필요한 AI 모델에는 극복해야 할 한계 중 하나다.PIM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칩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와 연산하는 ... ...
- [그래프뉴스] 코로나19로 일회용 포크와 젓가락 생산이 늘어났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전년보다 235억 원 증가했어요. 제품별로 보면 일회용 포크와 일회용 젓가락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어요. 일회용 포크는 64.1%, 일회용 젓가락은 60.5%였거든요. 일회용 이쑤시개와 일회용 숟가락도 각각 51.3%, 25.2%로 나타났습니다. 1년 전보다 생산액이 줄어든 일회용품도 있어요. 식당에서 주로 쓰는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 Part1.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Part2.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Part3.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Part4. 더 작고 더 정밀하게 !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어요. ‘티소 지수’는 왜곡이 얼마나 다양하게 나타나는지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에요. 둥근 지구본에서 위선, 경선이 만나는 지점에 작은 원을 그린 뒤, 2차원 지도에 투영한 원 모양과 크기를 비교하면 지도에서 각 지역의 형태, 거리, 면적의 왜곡 정도를 눈으로 ... ...
- [특집] CBDC가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조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인의 거래정보 노출을 막기 위해 암호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영지식증명(zero knowledge protocol) 기술이다. 영지식증명은 상대방에게 어떤 사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때, 그 사건의 참과 거짓 여부를 제외한 다른 정보는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Q 지금까지 한 연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연구는 무엇인가요? 2015년 발표한 연구들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그해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유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회로를 설계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또 수학 모델링을 이용해 생체시계가 제때 작동하는 원리를 발견해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장자리에 경사가 급해지는 지점이 생기고 이 지역에 오랜 시간 동안 하천이 흐르면 가장자리의 경사급변점이 점점 깎여나가면서 상류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암석의 종류에 따라 급변점의 이동 시간은 달라진다. 암석의 종류와 경사급변점의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땅이 융기한 시점을 계산했더니 ... ...
- [그래픽 뉴스] 호주에서 가장 큰 공룡 ‘쿠퍼’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2006년 호주 퀸즐랜드 남서부에서 발견된 거대 공룡 화석의 정체가 밝혀졌다. 고생물학자들은 다른 용각류(sauropods)의 화석과 비교한 결과, 이전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종이라고 밝혔다.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