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2019년 미셸 웨어링 미국 드렉셀대 연구팀이 30년 동안 수행한 12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실내에서 키우는 화분 식물의 공기 정화 효과는 크지 않았다. 1m2 당 적어도 10개, 최대 1000개 이상 식물을 둬야 밀폐된 실험실 연구에서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연구팀은 차라리 창문을 활짝 열어두는 것이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꿈이 아니라, 박사가 된 뒤에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 고민하며 꿈을 키워 나가면 좋은
결과
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본인의 연구를 소개해주세요!본인의 연구 분야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줄 수 있는 대학원생 필자를 모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 보드(www.scienceboard.co.kr) 공지 게시판을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그
결과
를 2004년 3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양성 피드백의
결과
로 경로의 편향성이 생긴 것이죠. 페로몬으로 길 찾기 문제를 푼다고?개미 집단은 지휘 체계 없이 효율적으로 경로를 형성합니다. 이런 개미의 움직임에 영감을 받아 만든 문제 해결법 중 하나가 ‘개미 군집 ... ...
수학 기자가 풀어드립니다!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이 기사를 읽을 때쯤에는 선거를 치르고 있거나, 이미
결과
가 나온 상태일 거예요. 여권과 야권 후보의 대결을 수학을 생각하며 끝까지 지켜봐 주세요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함수처럼 작용하며 입력된 신호를 미리 부여한 가중치로 계산한 값이 임계값을 넘으면
결과
를 다른 층에 있는 인공 뉴런으로 전달합니다. 이 같은 인공 뉴런 사이의 관계는 각 인공 뉴런을 점으로 표현한 후 방향과 가중치가 있는 선으로 연결해 쉽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공 뉴런을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종을 70% 이상 구하고 465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결과
를 발표했어요.다행히 올해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전 세계가 상처받은 지구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요. 2019년 3월 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총회에서 ‘UN 10년 생태계 복원 계획’이 발표됐거든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다양한 소재로 육면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 1월 21일자에 실렸습니다.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놀라울 정도로 정밀한
결과
였죠.약 1600년의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이를 뛰어넘는 계산
결과
가 등장합니다. 그 주인공은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였던 시라쿠사(현재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에서 태어난 아르키메데스(기원전 287~212년경)였어요. 그는 원에 외접하는 정다각형과 내접하는 정다각형을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바란다고 당부해 줬고요. 나름대로 수학과 관련된 일을 하기 위해 고민하고 연구한
결과
물이 지금의 로지컬 채널인 것 같아요. 앞으로 또 어떻게 변해가야 할지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Q π=2 증명 영상과 5시간 분량의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 암송 영상의 의미는 뭔가요? ‘π=2 증명’ 영상은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받는 수학자는 손에 꼽죠. 교수로서 논문을 낼 때도 이런 천재 수학자들이 내놓은 연구
결과
의 일부만을 다룰 수밖에 없어서 아쉬웠어요. 그래서 평소 멋있게 느꼈던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고도로 추상적인 학문인 수학보다 하루하루의 삶에 더 밀접한 학문을 배우고 싶기도 했고요. 독특한 저만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