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교
상업
여자
하이스쿨
상업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
여자상업고등학교
d라이브러리
"
고등학교
"(으)로 총 2,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로미오」-수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내 로미오는 날 사랑하니까 안전하게 통과시켜 줄거다.난 '계획표의 여왕'이란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붙여준 별명답게, 요즘도 책상앞에 세개쯤의 계획표를 붙여놓는다. 연간계획표 주중계획표 또 일일 시간표 두루두루 색칠까지 해가며 만들어 붙인다. 한 학기 한 달 한 주가 시작될 때마다 온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집중적으로 6개월간 공부하고 나서 한양공대를 지원했는데 결과는 합격이었다. 공업
고등학교
졸업 후 3년만에 대학에 진학하게 된 것이다.낮에는 일해야 했기에 야간 공대를 택했으나 여러 사정으로 곧 휴학을 하고 군대에 입대했다. 군에 입대해서는 신앙의 문제 등 기술과 동떨어진 많은 생각을 ... ...
75센트의 추적으로 스파이망 타진 「컴퓨터 해커」들, 첩보전에도 가담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국방부의 컴퓨터에 접근, 1급 정보를 빼낸바 있고, 1983년 독일에서는 연방정부 컴퓨터에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전화망을 통해 침입해 2년동안 자료도 뽑아보고 가공숫자도 처넣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사건은 해커들 스스로가 자신의 행위를 공표하고 나서야 사건의 내막이 드러나 당시 관계자들은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이 다른 한 변과 같다'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하지만
고등학교
에서 수렴의 극한값을 배운 사람이면 이와 같이 만든 작은 삼각형의 두 변은 그 합의 길이가 언제나 $\overline{AB}$ +$\overline{AC}$이며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변하게 만든 원인은 단지 인간의 '눈 ... ...
제2의 석기시대를 예상하며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영향을 많이 받기도 했었지만, 그런대로 내자신이 가꿀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하지만
고등학교
를 진학하면서 나의 적성과 의지에 맞는 것이 재료공학일까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또한 현실적인 문제속에서 너무 쉽게 결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그러나 그런 고민은 빠른 ... ...
정보문화 확산 운동 활발히 전개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주제로 순회강연을 실시하였다. 정보문화센터에서는 올해내에 공무원 외에도 여성단체
고등학교
대학교 등을 순회하면서 강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한편 정보문화센터에서는 '정보문화상'을 제정하고 우리나라 정보화 촉진을 위해 헌신한 개인이나 단체를 찾고 있다. 매년 '정보문화의 달'인 6월에 ... ...
과학교사들의 현장경험 살린「살아있는 과학」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현장 교육경험을 살려 '살아있는 과학'이라는 책을 펴냈다. 작년 10월 서울 인헌
고등학교
에서 '과학의 대중화'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교내 축제행사의 하나로 열렸던 '과학퀴즈열차'대회의 보고형식으로 출판된 이 책은, 현행과학과목이 재미없는 것 또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어지는 이유를 분석하고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되어 있는 곳을 찾기란 대단히 어렵다. 그런데 이 사실은 극히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눈으로 하는 학습만으로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대학에서는 명백한 한계가 있다. 대학에서는 몸으로 직접 부딪칠 수 있는 교육이 당연히 수행되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 ...
개별학습이 가능한 컴퓨터 가정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70년대부터 정부투자로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미니컴퓨터를 기본으로 한 시스팀을 중
고등학교
에 보급하였으며, 79년에는 정부가 새로이 8비트 컴퓨터와 플로피디스켓을 사용한 단독시스팀을 개발하였다.83년에는 학교에 10만대의 마이크로 컴퓨터 보급계획을 수립하여 3만3천개의 전체 국민학교에 ... ...
과학실력 테스트에서 최하위 그룹 한국학생, 과학은 좋아하되 과학과목은 싫어해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앞에 두고 있다. 따라서 첨단과학기술의 개발과 발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런데 초·중·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학력이 세계 최하위에 머물고 있음은 심히 우려할만한 일이다. 앞으로 과학교육 여건의 개선이 근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같은 성적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한일간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