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끈적끈적, 미끌미끌~! 생물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 정유철(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분자미생물학 연구실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Luis Zea(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항공공학과 조교수), 황길수(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예방회복과학과 조교수), 김동엽(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과 조교수),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자라는지 알아보기 위한 ‘스페이스 바이오필름 미션’을 시작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루이스 제아 교수는 “우주에서 생물막의 형성 과정을 밝혀 우주비행사들의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지요 ... ...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성분을 파괴하는 것이지요. 이런 방법들은 지금도 일상에서 흔히 쓰여요.그런데 2019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바이오필름 연구실의 황길수, 구현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생물막을 제거하는 마이크로로봇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생물막을 제거하려면 먼저 생물막에 산화철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어요. 지난 6월 8일, 얼굴인식 기술을 개발하는 미국의 기업 IBM은 얼굴인식 소프트웨어를 만들거나 배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어요. IBM의 최고 경영자 아르빈드 크리슈나는 “인권 및 자유를 침해하는 목적을 위해 얼굴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단호히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정자가 합쳐지지 않고, 정자의 자극만으로 난자를 발육시키는 방법이에요. 연구팀은 미국 주걱철갑상어 정자로 러시아 철갑상어 난자의 발육을 유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의도와 달리 정자와 난자가 합쳐지면서 수정란이 만들어졌어요. 한 달이 지나자 두 생물을 반반씩 닮은 새로운 종이 탄생했고, ... ...
- 화성행 탐사선, 7월에 몰려든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왜 지금이 화성 여행 성수기일까요? 미국, 중국, UAE “7월 안에 화성 간다!”7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다섯 번째 화성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를 발사할 예정이에요.(7월 20일 기준) 2011년 탐사로버 ‘큐리오시티’를 보낸 지 9년 만이지요. ‘인내’라는 뜻의 퍼시비어런스는 플로리다주 ... ...
- [과학뉴스] 99.5% 빛을 흡수하는 물고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월 16일, 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심해이빨흑고기(Anoplogaster cornuta)’를 비롯한 일부 물고기가 빛을 99.5% 흡수해 매우 검게 보이는 이유를 알아냈어요. 연구팀이 전자현미경으로 심해이빨흑고기의 피부를 관찰한 결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 덩어리 ‘멜라노솜’은 길쭉한 모양이었고, 서로 ... ...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월 15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시암 골라코타 교수팀은 곤충의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초소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장치를 딱정벌레의 등에 붙이고 주차장에 풀자, 120m 떨어진 연구진의 스마트폰에 딱정벌레가 찍은 주차장의 풍경이 전송됐지요 ... ...
- 올여름은 화성 탐사 성수기?! ‘퍼시비어런스’와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화성에 가요. ‘DASOL LEE’라는 이름이 적힌 이 화성행 티켓이 바로 제 거예요. 지난해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행 티켓을 무료로 뿌리기에 저도 냉큼 신청을 했죠. 제가 화성에 가면 어과동은 누가 만드냐고요? 걱정 마세요. 제 이름만 가거든요….(오열) NASA의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가 ...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후 영국에서 쓰이는 표준시간은 세계의 다른 나라에서도 받아들여졌어요. 1884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회의에서는 그리니치 표준시가 세계 시각의 기준으로 결정되었어요. 지금은 ‘협정세계시’라는 이름으로 수정되었지만, 여전히 세계 시각은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돌아가고 있답니다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