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사랑방」설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이용인원은 1천명 가까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회원들은 본인이 원할 경우, 자신의
연구실
에 워크스테이션을 설치 지방에서도 컴퓨팅파워를 서비스받을 수 있다. 시스템공학센터는 현재 보유중인 CDC, VAX, NAS기종도 컴퓨터사랑방의 연구활동지원에 포함시키는 한편 부산 대구 대전지역에도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조사식품을 후에 어떤 온도하에서 어느 기간 보존할 수 있는지도 밝혔다. 식품
연구실
에서는 작년까지 27개 품종에 대한 실험을 마쳐 적정 조사량에 대한 보존기간 등을 설정하였으며 앞으로도 계속 새로운 식품에 대해서 실험을 계속할 예정이다. 한편 소비자단체인 한국부인회측에서는 "요즘 ... ...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협소하지 않다"며 좋은 여건을 활용 세계적인 석학으로 성장해보겠다는 의사를 밝힌다. "
연구실
에서의 연구도 중요하지만 각국을 돌면서 세계 유명학자들과 연구결과를 놓고 토론하는 것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보고 서로 접하는 연구의 성과는 아무래도 생동감이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플래스틱첨가제, 니트로화합물의 중간체, 염료중간체등의 연구도 활발하다. 유전공학
연구실
의 연구영역은 아직 생화학테크놀로지 만으로 국한된다. 본격전인 연구는 새 연구소 준공뒤로 미루고 현재는 항생제나 무공해농약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조직은 소장(맹원기박사·화학공학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기후와 풍토에 맞는 우리의 자생화를 재배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벌레가 우글거리는 플라타너스의 가로수보다 하얀 꽃이 무리지어 피는 산딸나무의 가로수 밑을 달리는 기분은 어떨까. 또 개화기가 짧은 코스모스 꽃길보다는 오래동안 꽃을 감상할 수 있는 들국화로 도로변을 장식하면 어떨 ... ...
미국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 로잘린 얄로우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버슨을 소개해 주던 '스트라우스'의 아들 '유진 스트라우스'였다. 로잘린은 곧 그녀의
연구실
이 아직도 최상급의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주기 시작했다. 그녀는 다음 4년간 12개의 여러 의학상을 받았는데 그중에는 권위있는 '알버트 라스커' 기초의학연구상이 포함되어 있다. 그녀는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연구생활이 보장되지만 연구성과가 변변치 않으면 가차없이 제제를 가한다. 몇 개의
연구실
은 연구결과가 나빠 폐쇄된 일도 있다. 연구소의 자율과 책임 중시해야 최근 발표된 KAIST의 기술발전평가센터가 발표한 연구보고서는 현재의 출연연구소와 '특연사'를 평가한 후, '연구수행상의 간섭주의를 ... ...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훨씬 가볍고 성능도 우수한 플래스틱 축전지를 개발한 주역은 한국화학연구소 고분자 제1
연구실
의 이서봉(李瑞鳳·50)박사. -플래스틱 축전지를 개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요? "고분자가 도체(導體)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80년대에 들어와서부터였읍니다. 현재 이 분야의 ... ...
3차원 입체영상의 실현 홀로그래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레이저를 이용, 입체상을 만들어내는 홀로그래피. 실생활의 분야에까지 은연중에 침투한 이 기술은 응용영역을 더욱 확대해나가고 있다. 제 3차 세계대전의 가상 시나리오 중 일부. 적의 동향을 탐지하던 최신예 정찰기 SR-71 한대가 갑자기 적의 비행편대에 의하여 포위되었다. 조종사는 즉시 구출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이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는 밤낮과 휴일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이
연구실
에서 보내기 시작했으며 5년뒤인 1965년에는 마침내 정식으로 하버드대학의 종신직 생물 물리학자로 변신하게 된다. 이 무렵 길버트는 당시 분자생물학계의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를 해결하는데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