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국내 개발 씨앗은 이미 뿌려졌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연구를 수년간 수행해 왔다. 미국 IBM과 합동으로 영한 번역 시스팀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연구실
에서는 한글 생성 부분을 맡고 있으며,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대학 계산통계학과의 유석인 교수팀에서는 자동차 진단 시스팀의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 ...
신약자체개발을 목표 동아제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것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등등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동아제약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실
적을 보면 77년 설립 이후 최근까지의 신제품개발이 75건인데 이중 23건이 연구소자체개발품목이다. 즉 그동안의 신제품개발에 31%의 기여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특히 83~85년에는 34개 품목의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화학연구로 전향하였다(그후 그는 리비히의 조카와 결혼하였다). 그는 졸업후 리비히의
연구실
에 눌러 앉아 계속 연구하였지만 리비히와 호프만은 함께 활동하지 못하였다. 1844년 여름 27세인 호프만은 정들었던 모교의 거리 기센대학을 떠나 본 대학의 원외교수로 부임하였다. 그리고 그 해 겨울 ... ...
연간 규모 1조원의 전매사업 뒷받침 한국 인삼연초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동원하고 있다.
연구실
에서 한창 실험에 열중하고 있던 김만욱박사(인삼효능부 제3
연구실
장)는"옛날 부터 알려진 인삼의 경험적 효능을 현대 과학의 방법으로 밝혀 그 효능을 최대한으로 극대화하도록 하려는 것이 우리의 임무입니다"라고 설명했다.인삼이 좋은 약재와 가공건강식품으로 쓰이기 ... ...
PartⅡ 아프리카에서 벌어지고 있는 백신개발 전쟁 "AIDS바이러스의 원형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정복하기 위한 학자들의 노력은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실
에서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의 밀림지대에서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AIDS바이러스의 기원을 찾아내는 일이야말로 AIDS를 물리칠 백신을 개발하는 데 결정적인 열쇠가 되는 까닭이다. 수백만의 인명과 함께 수억 달러의 자금까지 걸린 이 ... ...
'만물의 이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틀리지 않을 것이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의 초점은 초현이론을 10차원의
연구실
로부터 끌어내 일상적 실험에 의해 인정되거나 반박할 수 있는 4차원적 형태를 얻는 데 있다. 그렇지 않고는 수학이 아무리 아름다울 지라도 가치가 없는 것이다. 아뭏든 초대통일 이론을 위한 의미있는 ... ...
한국정보산업협회 회장 이용태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인생행로는 우리나라의 컴퓨터산업과 궤를 같이 한다. 1974년 KIST내 전자계산기 국산화
연구실
에 근무할 당시를 그는 이렇게 회고한다."당시 미국 '인텔'사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하나의 칩 위에 컴퓨터의 기능을 집적시킨 것)을 개발했읍니다. 저는 그때 영감 비슷한 것을 느꼈읍니다. 우리나라가 ... ...
고분자 알로이섬유 개발 "빨리 공업화 되기를 기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실현한다는 것이다. 먼저 앞서 개발한 아라미드 펄프의 공업화를 위해 KAIST 공정개발
연구실
백건유실장팀이 연구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연구팀은 아라미드펄프의 공업화가 성공되면 알로이섬유의 실용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집중적인 투자와 연구로 개발성과의 공업화 실용화가 ... ...
두산연구소 농·축산 분야에서 독특한 실적올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머지않아 서울근교에 새연구소를 지어 이사할 예정이다.이 연구소의 특징에 대해
연구실
의 고이천차장은 "우리는 최첨단기술만을 내세우지 않읍니다. 현실적으로 소화가능한 기술부터 익히고 내실있게 발전해 갈 것입니다." 라고 말한다 ... ...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이렇게 만든 인공근육은 수축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연구실
에서 생명을 창조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센트-죠르지는 이 때가 그의 과학자 생활중에서도 가장 흥분된 순간이었다고 실토했다. 그것은 1939년 헝가리 세게트대학에서 근무하던 때의 일이었다. 그러나 얼마 뒤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