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리 익히고, 교실에서는 그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을 하거나 과제를 하는 새로운 수업 방식이다. 교실에서 수업을 배우고 과제는 혼자 하는 지금과는 정반대다. 그래서 이름도 ‘거꾸로’ 과학교실이다. 올해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내년에 시범 운영을 거쳐 2018년부터 널리 확산시킬 예정이다. 김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런데 이것은 몸에 상처를 내야 하는 ‘파괴적’인 방식이다. 만약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비파괴적’으로 우리 몸 안의 상태를 알 수 있다면 어떨까? 그 해답은 역문제에 있다. 프로파일러는 굉장히 사소한 단서에서 범인의 정체를 밝히는 증거를 찾아내야 한다. ... ...
- [과학뉴스]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경우 안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클라크 교수는 “기존화학적인 제조 방식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무엇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가진 걸까.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 강의록 형식의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 ...
- [가상인터뷰] 벽 타기 선수는 발이 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두 합쳐져 도마뱀이 벽에 붙어 있을 수 있을 정도로 커지죠.저뿐만 아니라 거미도 같은 방식으로 벽에 매달릴 수 있답니다. 반면 개미와 파리 같은 곤충이나 개구리는 발바닥에 묻어 있는 점액질을 이용해 벽에 달라붙을 수 있어요.닥터그랜마 : 나도 너처럼 벽을 타고 돌아다니고 싶어!도마뱀 :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했다.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고, 꽃의 어느 부위가 생기지 않는지 관찰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가 꽃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여러 호르몬을 역할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ABC모델이라 부른다. 하지만 한 그룹마다 수 개, 많게는 수십~수백 개의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생각도 들어보고, 그래도 나에게 재미있는 주제인지를 또 생각해요.교수님은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세요?저는 연구실에 앉아서 공부하는 것보다는 도서관이나 탁 트인 야외에서 공부하는 걸 좋아해요. 책을 보다가 생각이 잘 안되면 벤치에 누워있거나 걸어 다니기도 하고요.집에서는 공부가 잘 ... ...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디서 얻으십니까?송재경 그 전에 만들었던 게임에서 아쉬웠던 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개발해 왔습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게임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다르게 해보자 하는 식이지요. 만화나 영화, 책 등에서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합니다. 잠재의식 속에서 무심코 툭 튀어나오기 때문에,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간의 뇌는 분기점에 새로운 신경망을 추가하거나 비효율적인 신경망을 제거하는 등의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스스로 전체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글의 딥러닝 연구를 총괄하는 제프 딘은 3월 9일 기자회견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와 같은 수준에 올라서기 위해서는 자기 학습으로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 중 한 사람(A)이 “동전이 공평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가설 유의성검증 방식에 따라 이 가설을 검증하려면 우선 영가설을 세워야 한다. 이 경우에는 영가설은 A가 주장하는 바가 옳지 않다는 것, 즉 ‘동전이 공평하다’ 라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동전을 네 번 던져봤는, 네 번 모두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