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치아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침 덕분에 연구 결과만큼 심각하게 부식되지 않겠지만 장시간 청량음료에 노출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치아 표면이 주상절리를 닮았다고?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곳이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아름다운 색의 간헐천이 있어요. 땅속 깊은 곳에서 가열된 지하수가 일정한 시간을 두고 큰 분수처럼 뿜어져 나오죠. 그런데 이렇게 뜨거운 간헐천에서도 사는 미생물이 있어요. 고균에 속하는 술포로부스(Sulfolobus acidocaldarius)죠. 이들은 75~80℃의 고온과 pH 2~3 정도의 강산성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요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머릿속으로 정자를 떠올려 보세요. 아마도 성교육 시간에 본 영상 속에서 꼬리를 힘차게 좌우로 움직이며 난자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생각날 거예요. 그동안 우리는 정자가 장어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1677년 네덜란드 과학자 레벤후크가 정자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빛이 거의 수직으로 내리쬐지요. 태양이 높게 떠오른 만큼 아래로 내려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죠. 즉, 여름엔 태양의 고도가 높아 낮의 길이가 긴 거예요. 반대로 겨울엔 남반구가 태양을 향하고 있어요. 이때 우리나라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 낮의 길이가 짧고 밤이 길어지게 된답니다 ... ...
- [특집] 생물막,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동안 1만 개의 콜레라균이 자라나는 과정을 촬영했지요.콜레라균의 생물막은 관찰 후 5시간이 지나자 서서히 바깥으로 움직이며 커졌어요. 이때, 바닥과 가까운 균들은 바닥에 부착했고, 위쪽에 있는 균들은 포물선 모양으로 움직이면서 생물막을 키웠지요. 각각의 세균이 위치에 따라 ‘부착’과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있었던 라이브 투어 일정으로 혹여 지쳐있지 않았을까 하고 많이 걱정했어요.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독자 기자들이 요리에 높은 집중력과 호기심을 보여줘서 새삼 놀랐습니다. 요리할 때 어린이들이 보여준 섬세함과 적극성, 호기심이 음식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친구들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있어요. 그리고 기체 분자는 뜨거울 때 더 빠르게 움직인답니다. 차가운 공기가 출퇴근 시간의 꽉 막힌 도로 위 자동차라면, 뜨거운 공기는 뻥 뚫린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인 셈이죠. 같은 길이의 도로라면, 뻥 뚫린 고속도로에 차의 수가 더 적을 거예요. 마찬가지로, 뜨거운 공기의 기체 분자들은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검은 선으로 그려진 격자무늬(+) 사이를 한 칸씩 이동했어요.이윽고 사탕 뺏기 게임 시간이 다가왔어요. 이은승 대표는 준비한 사탕을 탁자에 퍼뜨려 두었어요. 지니봇을 조종해 사탕을 가장 많이 모으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었지요. 이번에는 지니봇 앱을 이용했어요.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물의 행동을 이해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생물이 활동하는 시간과 장소를 미리 파악하고, 우리가 생물에 맞춰서 소리를 기록해야 하죠.”탐험대학 학생들은 한 달 뒤에 모여 소리를 분석하기로 했어요. 자연의 소리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요? 공룡, 이 뼈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녹말은 소화효소인 아밀레이스를 만나 단맛을 내는 엿당으로 분해돼요. 그 덕에 오랜 시간 씹으면 단맛이 난답니다. 이후 엿당은 소장에서 장액 속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말테이스와 만나 몸에 흡수될 수 있는 포도당으로 최종 분해되지요. 경도(經度, longitude) 지구본을 본 친구들은 일정 간격으로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