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고장으로 유치하려 하였는데 이제는 그와 반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은 누구에게
잘못
이 있기 보다는 우리 전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안전성이나 기술적인 문제 이전에 정부와 국민 서로 간에 믿지 못하고 있는데서 비롯하는 것이다.어쨌든 당시는 위와 같은 구상 아래 대통령에게 제안을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여겨져서 게자리의 엡실론(ε)별로 불리기도 했고, 그후에도 오랫동안 성운(星雲)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아마 망원경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까지도 프레세페를 성운으로 알고 있었을 것이다. 프레세페가 성단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바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이(Galileo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적합하지 않은 진단을 받은 케이스로 드러났다.의학적으로는 진단당시 병상(病狀)을
잘못
판단한 경우를 모두 오진이라고 간주하나 법률적으로는 비록 의학적인 오진이라 하더라도 치료방법이 결과적으로 효과적이었거나 무해(無害)했다면 고의성이 없는 한 오진으로 보지 않는다.서울지방검찰청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한 우리 눈의 민감도는 변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 많은 사람들이 시리우스의 색깔을
잘못
보았다고 생각하기도 힘들다. 수수께끼는 여전히 남는다.두번째 수수께끼다. 최근 많은 책들이 중앙 아프리카의 도곤(Dogon)부족이 신성한 별, 시리우스의 동반별(눈에 보이지 않음)에 대한 신화를 가지고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거는 배짱을 길러볼 일이다. 그리고
잘못
이 생기면 '또 실수했구나, 이번엔 도대체 뭐가
잘못
됐을까?' 하지 말고 '또 실수라니, 전혀 뜻밖인걸? 이번 실수로 어떤 것을 생각할 수 있을까?'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같은 실패를 반복하는 사람은 발명가가 될 수 없다.놀아도 슬기롭게 놀아라'필요는 발명의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게 웬 떡이냐"하고 30리길을 줄달음쳐 돌아온 조선인은 그 일인이 행여 돈계산이
잘못
됐다고 찾아올까봐 한달 이상 문밖출입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해방후 1964년 국립박물관팀의 발굴조사결과 80여개에 달하는 도요지가 추가로 발견됐다. 70년대 들어 청자문화를 재현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7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음식 속에 있는 칼슘이나 칼륨같은 다른 이온들을 무시하고 나트륨만 문제시하는 것은
잘못
된 것같다. 아마도 이것들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방식으로 서로 연관돼 있을 것이다." 미국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의 연구실장인 윌리엄 할란박사의 말이다. 식습관과 혈압 비교연구일부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결과는 무의미한 것이다. 국내의 사고해석 사례를 보면, 과학적 지식의 결여때문에
잘못
된 결론에 이른 경우보다 사실과 주장을 구분하지 못하는데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의료분쟁에서 환자측이 번번이 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환자측은 법원에 가더라도 의사의
잘못
을 결국 의사가 가려내야 하는데 인맥 학맥 등이 작용, '팔이 안으로 굽는' 편향된 증언을 하기 때문에 패소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아마도 이러한 불신감은 공정한 감정기관이 설립되고 전문적이고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의해 형성됐을 것이라는 생각은 그 이후 10여년간 널리 인정됐으나 1960년대에 이르러
잘못
된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그후로 70년대 후반까지 은하들의 상호충돌 가능성은 대다수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그러나 최근들어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천문관측기술 덕택으로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