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로 자료관리하는 공개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자료를 입력할 차례다. '입력'을 선택하여 화면에 출력된 양식대로 자료를 입력한다.
잘못
된 입력은 '수정'에서 고친다. 수정에서는 메모필드의 내용도 수정 또는 추가를 할 수 있다.자료입력이 되었으면 '편람'을 실행한다. 이 편람은 델타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중의 하나다. 편람에서는 자료를 한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기전에 '금성활극'이라는 작품을 썼는데 실제 과학적 탐사 이후 자신의 작품내용 중
잘못
된 것이 있다고 판명됐다. 여기에 대해서는 개정판 서문을 통해 미리 독자에게 사실을 알렸다.하지만 SF작가가 꿈꾸었던 것이 현실화했을 때 틀린 부분이 발견됐다고 해서 작가의 과학적 상상력마저 훼손되는 ... ...
팽이 오래 돌리기놀이의 챔피언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어주는 쇠테가 90°의 차이를 두고 여러 개 연결 돼 있다. 그 생김새와 역학적 원리를
잘못
설명한 것은?①팽이 바깥쪽의 무게를 증가시켜 큰 회전력을 얻게 하기 위함이다.②팽이의 회전력을 유지시키려면 쇠테의 위치가 90°의 각도차이를 나타내야 한다.③팽이의 회전축이 일정하게 오랫동안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었다. 또한 평화시의 예행연습과 반복적인 보정작업을 통해 계속 보완돼 왔다. 하지만
잘못
된 경보때문에 보복목적의 핵공격이 감행될 가능성이 과연 어느 정도일지는 아직도 미지수로 남아 있다.둘째는 소수에 의해 의도적으로 또는 범법적으로 자행되는 핵전쟁이다. 다시 말해 핵무장부대가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잇따라 설립됐다. 이러한 경향은 한편으로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측면도 있었지만
잘못
된 제도의 반영이기도 했다. 가령 80년대 대학 정원이 대폭 늘어났지만(지방대학이나 지방 분교에 한정) 과별 정원은 묶어두는 반면 학과수를 늘리는 쪽으로 진행됐다. 이들 신설학과들은 대개 우수한 학생을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퇴화물로 여겨진다. 간혹 뱀의 발을 봤다는 사람이 있지만 이는 항문에 난 생식기를
잘못
본 것이다.뱀은 주머니모양의 교미기를 두개 지니고 있다. 보통 때는 뒤집어서 보관하고 있다가 교미할 때 그중 한개만을 사용한다. 대개의 암컷은 정자를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난생을 하는 것이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밤에 활동한다. 이들은 어떻게 하여 어두운 밤에 먹이를 잘 잡을 수 있을까? 다음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① 눈이 매우 좋아서 밤에도 잘 볼 수 있다② 귀가 매우 밝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③ 후각이 매우 발달돼 있어 냄새를 잘 맡는다.(2) 딱총새우와 망둥이는 상리공생관계다. 망둥이는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않기 위해 핵실험을 하는 것이다.이제 핵실험의 도덕성에 관해 살펴보자. 핵무기 경쟁이
잘못
돼 핵전쟁이 일어나면 전쟁 당사국 뿐 아니라 온 인류가 멸망하게 된다. 핵무기는 그만큼 무서운 무기다. 그렇다면 핵무기 경쟁을 위해 행해지는 핵실험은 전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부도덕한 행위라고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래 5월18일(광주 항쟁일)에 '518'이란 숫자가 깜빡이도록 만들 예정이었는데 그만
잘못
변형돼 11월30일에 '1130'이 깜빡이도록 바뀌어졌다고 해명 했다. 이 바이러스도 몇가지 변형과 함께 시중에 나돌고 있지만 그다지 큰 피해는 입히지 않는다.이외에도 양파(Damanaegi)바이러스 벌꿀(Honey)바이러스 산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표현이다. 살아 있는 곰의 쓸개즙을 짜서 마시는 것도 무병하게 오래 살려는 인간의
잘못
된 욕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약품과 구별돼야건강을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 저마다 갖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 건강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먹는 음식을 우리는 건강식이라고 부른다.옛날 우리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