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d라이브러리
"
사회
"(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열린 수학대중강연에서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인 서동엽 수학대중화사업단장은 “21세기
사회
속에 수학은 소리 없는 영웅으로 자리 잡았다” 며 “수학의 가치와 본질을 바로 알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그런데 일반인들은 수학을 특별한 사람만 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학생 대부분은 수학을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에 맞는 홍수 대책을 선택해야 한다. 유철상 고려대 건축
사회
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비가 내리는 양상이나, 도시의 개발 정도, 하천 환경을 고려할 때 빗물 이용, 흡수, 저류, 배수 등을 조합해 관리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의 중앙집중식 처리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갯벌이 수두룩한 우리나라와는 천지차이였다. 통역과 안내를 맡은 이응철 사가대 지역
사회
개발학과 교수는 “큰 갯벌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 눈에는 너무 작아서 갯벌로 보이지도 않을 것”이라고 미리 귀띔해 줬다.도시 북서쪽에 자리한 하카타 만의 와지로 갯벌을 찾았다. 뻘과 모래가 섞인 0.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읽을 수 있다. 마침 최근 국내에도 차례로 번역돼 나왔다. ‘라이너스 폴링 평전’은
사회
학자와 수학자인 부자가 30년 동안 대를 이어 꼼꼼히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천재 과학자이자 반전 평화운동가였던 폴링의 생애를 되살린다. 신문기사처럼 건조하고 객관적인 문체로 탑을 쌓듯 되살린 폴링은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언어)으로 나눠 특기 과목을 하나 선택하게 한다. 과학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
사회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역사’ 가 필수 과목이다. 이 때문에 과학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학생들마다 개인차가 있지만 수학 수업을 원하는 만큼 학교에서 지원받을 수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미래의 과학영재는 단순히 과학을 잘하는 학생에 그쳐선 안 된다. 인문이나 예술 그리고
사회
경제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이해한 것은 글을 통해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에는‘STEAM+W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부터 과학 ... ...
인간관계에서 잡담이 차지하는 역할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미국의 뇌과학자 마이클 가자니가는 사람들이 잡담을 통해
사회
적인 방식을 배워나가고 자신을 객관화시킨다고 말했다.]기세등등 겉모습 속에 감춘 열등감문제는 이 세상 모든 유혹이 다 그러하듯 어느 정도에서 멈출 수 있냐에 달려 있다. 일반적인 정서를 가진 평범한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는 에너지에 대한 지식 외에 세계를 보는 넓은 시야와 인문
사회
적 소양을 강조한다. 문 교수 자신이 역사서와 철학서를 탐독하는 것처럼.“제가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기존 전력망 연구에 한계를 느껴서였죠.”문 교수는 1993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지만
사회
적으로 좋은 직업이라고 알려진 것이지 ‘나만의 꿈’은 아니다. “그건
사회
에서 인정받는 직업이지. 네가 평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을 말해보렴.” “게임 외에는 좋아하는 게 딱히 없어요.” 어렸을 때부터 게임을 무척 좋아해서 인터넷고로 진학할까 고민했다는 L학생. 게임 TV만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없다. 멀쩡하던 산이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만 반영돼 있는 것이다. 유철상 고려대 건축
사회
환경공학부 교수는 “현재의 산사태는 사람에 의한 간섭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것은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산사태’의 정의와 전문가, 산사태 정보시스템이 내리는 정의가 다르기 때문에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