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d라이브러리
"
사회
"(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잡담이 차지하는 역할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미국의 뇌과학자 마이클 가자니가는 사람들이 잡담을 통해
사회
적인 방식을 배워나가고 자신을 객관화시킨다고 말했다.]기세등등 겉모습 속에 감춘 열등감문제는 이 세상 모든 유혹이 다 그러하듯 어느 정도에서 멈출 수 있냐에 달려 있다. 일반적인 정서를 가진 평범한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는 에너지에 대한 지식 외에 세계를 보는 넓은 시야와 인문
사회
적 소양을 강조한다. 문 교수 자신이 역사서와 철학서를 탐독하는 것처럼.“제가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기존 전력망 연구에 한계를 느껴서였죠.”문 교수는 1993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제 최대한 많이 게놈을 모으려는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게놈이 바로 돈이거든요.
사회
자 사람도 마찬가지에요. 이미 1000명의 개인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앞으로는 개인별로 게놈을 분석해 맞춤의학 시대를 열 거라고 하네요. 오늘 여러분을 모시고 여러 얘기를 나눌 수 있어서 정말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는 “과거에는 국내에 과학기술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다”면서 “최근 10년간
사회
곳곳의 기반기술이 완성되면서 군사기술도 빛을 보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최근 성과 중 자랑할 만한 것들로 세계 정상급 성능을 가진 차세대 전차 흑표, 벽 뒤에 숨어 있는 적을 공격할 수 있는 K-11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읽을 수 있다. 마침 최근 국내에도 차례로 번역돼 나왔다. ‘라이너스 폴링 평전’은
사회
학자와 수학자인 부자가 30년 동안 대를 이어 꼼꼼히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천재 과학자이자 반전 평화운동가였던 폴링의 생애를 되살린다. 신문기사처럼 건조하고 객관적인 문체로 탑을 쌓듯 되살린 폴링은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학, 그리고 컴퓨터, 신재생 에너지, 전자기기를 익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역사와
사회
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은 인류의 삶을 변화시키는 정책과도 연관돼 있으므로 넓은 시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에서는 전기 생산을 비롯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송전과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지만 GIST에서는 ‘지덕체’ 대신 ‘체덕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체육과 인문·
사회
과목이 중요하다. 학생들은 체육과 음악을 각각 6학기, 4학기를 듣지 못하면 졸업할 수 없다. 대신 이들 과목은 무학점제다. 성적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서다. 처음엔 의무적으로 체육과 음악을 ... ...
올해 IMO에서 한국 13위, 대책은?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IMO의 목적을 벗어나 지나치게 흘러가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수학대표팀을 환대하는
사회
분위기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심리적 안정 되찾아 2012년 기대우리나라는 2012년 IMO 대표팀을 선발하기 위한 일정을 시작했다.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1차 선발자를 대상으로 하는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방법을 익히게 되면 신문이나 뉴스에 등장하는 통계 자료를 의미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돼
사회
현상을 정확하게 바라보는 안목까지 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독 비가 많이 온 이번 여름에는 평년에 비해 얼마나 많은 양의 비가 왔는지 비교해 볼 수 있는 거죠. 다음 자료는 소방방재청에서 비가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미래의 과학영재는 단순히 과학을 잘하는 학생에 그쳐선 안 된다. 인문이나 예술 그리고
사회
경제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이해한 것은 글을 통해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에는‘STEAM+W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부터 과학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