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는지 정교하게 계산한 겁니다. 여러 대의 드론은 벽돌을 들고 날아가 정확하게 계획된 위치에 벽돌을 내려놓을 수 있었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군집드론은 똑같은 명령을 따르는 드론 여러 대를 모아놓은 것이 아닙니다. 하나의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서로 다른 명령을 따라 움직이는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나의 평면좌표라고 생각해 보세요. 예를 들어 화면의 정 중앙이 원점이라면, 바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를 -10부터 +10까지 제한해 줘야 해요.다음은 캐릭터가 위에서 떨어지게 만드는 거예요. 화면 위의 똑같은 지점에서 떨어진다면 너무 단순해서 재미가 없겠지요. 좀 더 점수를 따기 어렵게 ... ...
- 흔들흔들, 네팔 대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럴 때 지진이나 화산폭발이 일어난답니다. 네팔은 바로 판이 부딪히는 지점에 위치한 나라이기 때문에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요.이번 지진으로 네팔의 유적지인 탈레주 사원과 카트만두 더르바르 광장, 파탄 더르바르 광장, 나라얀 사원, 다라하라 타워 등도 피해를 입었어요. 이 중 카트만두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약골 유전자 찾기 유전자 가위와 손을 잡고 있는 물질이 유전자 가위에게 목표 유전자의 위치를 알려 준다.➋ 약골 유전자 자름 목표 유전자 근처에 도착한 유전자 가위가 유전자를 정교하게 자른다.➌, ➍ 위와 동일.약골 유전자를 없애라~!최근 국내 기업 ‘툴젠’에서 곰팡이균에 약한 약골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공의 순간 속도를 알 수 있죠. 이것으로 드론은 자신이 어느 순간, 어느 속도로 어느 위치에 가야 공을 받아칠 수 있을지 계산합니다.드론이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다닐 수도 있습니다. 이를 ‘트래킹’이라고 합니다. 테니스를 칠 때와 달리, 물체와 부딪치지 않아야겠죠. 드론도 움직이고 물체도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수 약품으로, 물속에 있던 이물질이 엉겨붙어 가라앉게 하는 역할을 하지요. 레일 끝에 위치한 건물에 들어서자 소독약 냄새가 났어요.“이 냄새는 염소 냄새예요. 염소는 깨끗하게 걸러진 물에 남아 있는 나쁜 균들을 없애 주는 역할을 하지요. 이후 염소는 공기 중으로 날아가고 깨끗한 물만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공기 저항이 줄어 타구의 비거리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해발 0m에 위치한 구장보다 5% 더 멀리 날아간다. 이외에도 콜로라도의 더운 날씨와 건조한 환경도 투수를 괴롭혔다.온도가 올라가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대기가 건조해지면 공과 배트의 탄성력이 ...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카메라와 센서로 무릎, 발목 같은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자세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다. 위치인식 모듈은 자세인식 모듈과 전방향 이동장치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분석해 이동방향과 속력을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다. 행동분석 모듈은 위장비들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종합해 무기변경, 수류탄 던지기,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늑대와 같은 오늘날의 활동적인 맹수들은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멀리 있는 먹잇감의 위치를 추적한다. 티라노사우루스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미국 오하이오대의 로렌스 위트머 박사는 CT촬영을 통해 얻어낸 티라노사우루스 머리뼈 속 내이(內耳,몸의 직선 운동 및 회전성 운동을 감지하는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근거는 아시아 각지에서 발견된 ‘이상한’ 화석들이다. 2005년 중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역에서는 두뇌 크기가 600cc 정도로 작고(오스트랄로피테쿠스(450cc)와 에렉투스(900cc)의 중간이다), 체구도 왜소한 화석 인류가 발견됐다. 문제는 생존 연대인데, 약 180만 년 전에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