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납득
수긍
양해
용납
인식
해득
분별
d라이브러리
"
이해
"(으)로 총 6,3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없지만 마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현상이에요. ‘카니자 삼각형’을 찾아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거예요. 윤곽선 또는 실루엣은 사물의 생김새를 파악하는 핵심 수단이지요.동물도 깜빡 속는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신경과학과 뤼디거 폰 더 하이트 교수는 원숭이도 사람처럼 주관적 윤곽선을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엄밀성을 처음 접하기 때문일 거예요. 그래서 지극히 딱딱해 보이고 엄격한 증명을
이해
하기보다 증명 과정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증명에 이용하는 아이디어 자체가 중요해지기 때문이죠. 여기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몇 쪽이 넘어가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원을 이용한 스트링아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원의 중심과 현의 길이에 관한 성질을
이해
하고, 현의 길이와 원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수업의 목표다. 또 자신이 상상하는 모양을 스트링아트로 표현하기 위해 현의 길이를 조절해 다양한 작품을 만들면서 창의력을 키울 수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맞지않는다는 게 알려졌어요. 하지만 돌턴의 원자설은 원자라는 개념을 과학적으로
이해
하고 연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답니다.이제 과학자들은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요. 그리고 원자핵 역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고, 양성자와 중성자는 다시 ‘쿼크’라는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손가락질 받고 있지만, 그가 이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연구 결과는 인간의 본질을 좀 더
이해
하는 계기가 됐다.인간과 93% 닮은 붉은털원숭이허 연구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사이, 센터의 전문 사육사가 찍은 사진이 도착했다. 사진 속 원숭이의 손은 인간의 손과 아주 유사했다(56쪽 사진 참조). 다섯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선원 15명을 보면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라는 탄식이 절로 나온다. 인명 구조에 따르는
이해
타산을 머리로 저울질하지 않고서 곧바로 몸을 바닷속으로 던진 두 청년을 보면 이타성도 인간의 본능이라는 일말의 희망을 품게 된다.이 연재는 이기성과 이타성을 진화의 관점에서 살핀다. 오늘날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
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가 아니라 본능적인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기계를 만들어 그것을 타고 벨라트릭스까지 왔어.그런데 우리가 도착하기 직전에 우리가
이해
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났어. 여왕이 잠에 빠진 거야.잠을 자는 존재는 꿈을 꿔. 그리고 여왕의 꿈은 지금까지 그 존재가 기억에 담아두었던 모든 것들이 멋대로 날뛰는 거대한 연극 무대가 됐어. 각기 다른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자신만의 하트 모양을 만들어 보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색채 구성에 대한 의미와 효과를
이해
하게 돼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데도 도움이 된다.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완성된 작품을 서로 비교하고 평가하면서 나와 생각이 다른 동료 학생에 공감하거나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하는 능력도 키울 수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주변의 단백질을 잡는다. 카우보이가 밧줄을 돌려 물건을 낚아채는 것을 상상하면
이해
가 쉽다. 허 교수팀이 만든 올가미 단백질은 암세포에 서 세포 분열에 참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을 막았다.“우리가 처음 광유전학과 단백질을 결합한 뒤부터, 다른 경쟁 그룹들도 비슷한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