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바닷
물
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안녕!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
물
이야. 나는
물
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
이나오잖아!
물
을 콸콸 틀어놓고
물
장난을 하는 거 ...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
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닷
물
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
물
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
물
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로 만들까?Part 3. 마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않는다. 마치
물
과 기름처럼 둘이 잘 섞이지 않는다. 현재는 나노셀룰로오스의 표면이
물
을 튕겨내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변화는 시작되고 있다. 제지공학계 일부만 연구하던 나노셀룰로오스를 최근엔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대학과 연구소 실험실에서 다양한 연구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있을 법한 장비로 소금의 이
물
질을 찾아내 제거하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또 금속성 이
물
질들은 강한 자석으로 제거하고 있었다.소금은 무조건 적게 먹는다고 좋은 게 아니다. 넘치는 것도, 부족한 것도 문제다. 또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가는 소금의 종류와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발음요소인 ‘평평할 견(幵)’과 의미요소인 ‘터럭 삼(彡)’이 들어 있어요. 터럭은 동
물
의 길고 굵은 털인데 이를 뭉쳐 만든 붓으로 가로, 세로를 그린 ‘모양’을 뜻하게 됐죠. ‘평평할 견(幵)’은 방패 두 개를 나란히 놓은 모양에서 ‘평평하다’는 뜻을 갖게 됐답니다 ... ...
[과학뉴스] 방사성
물
질에 오염된
물
미생
물
로 깨끗하게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기술로 항암치료에서 발생하거나 뜻하지 않은 원전 사고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성 폐기
물
을 제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 4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doi:10.1039/C7CC0072 ... ...
[과학뉴스] 고무와 플라스틱, 식
물
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에너지혁신촉매센터(CCEI)에서 개발한 인산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THF의
물
이 빠져나오면서 고리결합이 풀리고 부타디엔이 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수율이 높고 가격이 싼부타디엔 제조법을 통해 고무나 타이어 등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21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
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안에 있는
물
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10.1017/jog.2017.1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1653년 탈출할 때 빵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찍이 서양으로부터 빵을 비롯한 여러 문
물
을 받아들인 일본인들이 1902년 한반도에 빵집을 지었다는 기록도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제과제빵 기술이 국내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빵은 대중이 아닌, 소수 사람들만 특별한 목적 하에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루코노스톡)은 젖산 외에도 휘발성
물
질인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든다. 휘발성
물
질과 기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풍미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또한 발효종을 넣은 빵은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발효가 서서히 일어나면서 조직이 훨씬 조밀하고 탄탄해지기 때문이다. 빵이 식으면서 조직이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