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잘 녹는데, 퇴적
물
핵을 만나면 ●침전되는 경우가 많답니다.● 침전 :
물
에 녹아 있던
물
질이 다시 고체로 변하며 쌓이는 현상.모에라키 바위는 ‘모에라키층’이라고 불리는 퇴적암층 속에서 만들어졌어요. 고생대 시기 얕은 바다에서 진흙이 쌓이면서 지층이 생겼고, 이 지층 사이사이 빈 공간에서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살짝 묻게 돼요. 벌은 더듬이 끝 부분에 있는 예민한 후각수용체로 아주 적은 양의
물
질도 냄새를 맡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벌이 꽃잎에 남긴 기름 냄새까지 알 수 있답니다. 이 냄새를 확인하면 직접 꿀샘까지 가지 않아도 이미 누군가 다녀 갔다는 것을 알게 되는 거지요. 전략2 특별한 신호를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주제”라면서 “미세섬유는
물
론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물
질 흡착이나 독성에 대한 연구, 나노 크기의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 등 앞으로 해야 할 일이 아주 많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킥스타터에 소개된, 미세섬유를 줄일 수 있는 제품 두 가지를 소개한다. 독일 발명가 ... ...
[가상인터뷰] 오줌으로 대화하는
물
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오줌을 통해 동료와 다양한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아직 해양생
물
들의 오줌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이 많아요. 연구할 거리가 남았다는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이만 가봐야 할 것 같아요. 안녕~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증명하기 위해 브라우어르의 고정점 정리를 활용했다.기하학에 날개를 달다도넛과
물
컵부터 털 난 공의 정리까지, 위상수학의 연구 주제는 도형과 관련된 것이 많다. 도형은 모양이 조금만 변해도 표면 곳곳의 성질이 바뀌지만 위상수학은 그럼에도 절대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값을 연구한다. 따라서 ... ...
[포토 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태양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신라이트는 태양에너지로
물
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현대 과학의 빌딩블록(건축
물
을 만드는 벽돌)”이라고 말했다. 저마다 겉모습이 다른 건
물
들처럼 모양과 쓰임새는 달라도 수많은 연구에서 나노기술을 쓰고 있다는 뜻이다.매일 전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나노기술의 활용분야 만큼이나 나노기술의 종류도 광범위하지만 근본 원리는 공통분모를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텍타이트는 큰 운석이 떨어질 때 충돌지점의 표면 토양이 순간적으로 녹아서 생기는
물
질이다.끈기를 갖고 분리한 ‘아마도 우주먼지’인 입자들은 다시 일시와 장소를 적어 따로 보관한다. 이렇게 분리한 입자들이 진짜 우주먼지인지는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 바로 과학동아와 극지연구소가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쌍곡선은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으로 굽은 상 ... ‘여러
물
건’, ‘사
물
’ 등을 지칭하는 단어로 확대돼 쓰인답니다. 즉, 포
물
선은 ‘공중으로
물
건(物)을 던지면(抛) 그려지는 선(線)’이지요 ... ...
Part 1. [첫 번째 실험] 바지 입은 채로 팬티 갈아입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같은 것도
물
컵에 구멍을 내지 않고 도넛을 만들 수 있어서랍니다. 위상수학에서는 이
물
컵과 도넛의 ‘위상이 같다’고 표현해요. 첫 번째 실험에서 다리를 비현실적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었던 것도 구멍을 내지 않는 한 다리의 위상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