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양안경
안경
d라이브러리
"
쌍안경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관측
과학동아
l
199304
먼저 천구의 운동을 배우고 맨눈으로 별자리를 구분하는 능력을 키우게 되며 다음으로는
쌍안경
이나 소형망원경을 통해 달의 분화구, 태양의 흑점, 화성 목성 토성 등 행성과 그 위성들을 세게 된다"고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변화하는 모습을 설명했다.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밤하늘 구석구석을 ... ...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04
달이 있었던 위치를 보여주었다. 도시의 광공해 때문에 월식의 희미한 흔적을 찾기 위해
쌍안경
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달을 발견하기란 거의 불가능하였다.공기중의 늘어난 먼지는 단지 월식만 변화시키지 않는다. 화산진(塵)은 대기 속에 장시간 머무를 수 있는 아주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02
정도다.이 성단은 6등급에서 16등급까지의 별 약 1백20개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7×50정도의
쌍안경
으로 이것을 보면 커다랗고 희미한 얼룩과 주변에 몇몇개의 별들이 분해돼 보인다. 6인치나 8인치급의 망원경에서 저배율의 접안렌즈를 끼고 보면 시야를 꽉메운 별들이 곡면과 열을 지어 배열 돼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02
가대천체망원경은 경통이 크고 무겁다. 높은 배율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배율의
쌍안경
과 같이 손에 들고 보아서는 시야(보이는 부분)가 항상 흔들려 정확히 관측할 수 없다. 따라서 가대와 다리라고 하는 지지대에다 천체망원경을 올려놓고 그 위를 움직이며 천체를 관측한다.망원경의 경통과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01
레이저 방출기가 위쪽으로 계속해서 레이저 빛을 뿜어낼 계획.전망시설로는 망원경과
쌍안경
이 설치될 예정이며, 전망대 내부에는 불꽃놀이를 광섬유로 표현한 조형물이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야간을 위한 조명효과도 고려 중인데, 탑의 눈에 해당하는 두개의 스카이 빔이 화려한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01
많이 갖고 있는 7×50
쌍안경
으로도 약 4도에 달하는 혜성의 꼬리가 관측됐다. 즉
쌍안경
으로 보았을 때 시야의 반 정도를 혜성이 가로지르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4인치나 6인치 망원경에서는 10분 정도의 시직경을 가진 푸르스름한 코마와 중심부에 밝은 성상처럼 보이는 응축된 핵의 존재가 확인됐고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11
반사 6인치 하나에 굴절 4인치 망원경 하나가 고작이다. 최근에 회비를 아껴 써 그럴듯한
쌍안경
(11X80㎜) 하나 구입해놓고 서로 대견해하고 있다. 남자 대학처럼 망원경 자작의 중노동을 감당해내기 어렵고, 굵직한(사업을 해 돈을 많이 버는) '선배 물주'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그렇다고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거리는 대략 1백광년이고 이 대상은 달 면적의 절반 정도로 하늘을 덮고 있다. 좋은
쌍안경
을 가지고 별을 보기에 완벽할 만큼 어두운 밤을 기다린다면 이 아름다운 천체의 흐릿한 섬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서양의 점성술사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시대를 '물병자리 시대'(Age of Aquarius )로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09
후드(빛 차단막)를 설치한다든가, 시간을 더욱 늦춰 좀더 좋은 조건에서 관측한다든가,
쌍안경
을 고정시키고 누워서 관측한다든가하는 구체적인 측면에서 조건들을 조정해나가야 할 것입니다.조상 이번이 첫번째이기 때문에 어설펐던 점이 많았으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2회 3회가 거듭되면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도심이나 대전 도심은 서울 신촌 지역에 비해 2배 정도 어두운 것으로 드러났다.분석팀은
쌍안경
관측이 사람의 육안에 의존하므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지역의 기상 조건이 똑같지 않으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음번 행사 때는 관측법만이라도 좀더 구체적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