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양안경
안경
d라이브러리
"
쌍안경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10
M31은 매우 어두워서 찾기가 상당히 어렵다. M33을 보기 위해서는 어두운 밤이 필수적이며
쌍안경
이 그 희미한 빛을 농축하기 때문에 망원경에 비해 더 효과적이다. 관측자들은 때때로 M33이 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그냥 스쳐지나가는 수가 있다.기타 문의 사항이나 아마추어 천문에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나간 적색의 빛이 조사돼 검붉게 빛난다. 이때의 달 모습은 매우 매력적이다. 월식은
쌍안경
으로도 충분히 감상이 가능하다. 망원경도 전면을 볼 수 있는 30~50배 정도의 저배율이 적합하며 그림자의 이동을 스케치하거나 연속적 촬영을 하면 훌륭한 기록이 된다.한편 달이 항성이나 행성의 앞을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09
그 진한 붉은 색을 따라서 이 별에 '가네트 스타'(석류석 별)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별은
쌍안경
이나 작은 망원경, 심지어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뮤별은 적색의 초거성으로 태양의 5만배에 이르는 밝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밝기는 3.4에서 5.1등급 사이에서 변한다. 이 별을 관측할 기회가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08
가 있다. 알비레오는 백조의 머리, 즉 십자가의 끝에 해당 한다. 아주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
으로도 알비레오가 황금빛 주성(3.1등급)과 푸른빛 작은 별(5.1등급)의 환상적인 쌍이라는 것을 알아 볼 수 있다. 이들은 마치 '하늘의 교통 신호등'인양 서로 붙어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알비레오의 두 별에 ... ...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08
들여온 구경 1백78㎜ 아포크로매틱 망원경을 비롯해 80㎜ 아코매틱망원경, 10X14 대형
쌍안경
등이 김씨집에 포진하고 있다. 이들 기구는 김씨의 고향인 전북 부안 변산에 세워질 조각공원내의 천문대(금년말 완공예정)의 주요 장비로 활용될 예정이다.이 천문대는 중학교 졸업 이후 줄곧 독학으로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08
경남 화왕산 관측소에서 안드로메다를 대형
쌍안경
으로 관측하면 3˚ 가까운 크기로
쌍안경
의 시야를 꽉 채운다. 핵과 나선팔의 거대함을 느낄 수 있다. 이때 핵은 약 10′(분) 정도 크기로 뚜렷하고 매우 밝다. 15㎝급 저배율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2˚길이와 20′ 정도의 폭으로 보인다. 구별하기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07
일반적으로 이 성운은 완전히 볼 수 없는 것으로 인식돼 있지만 펠리컨의 동편 일부는
쌍안경
으로 얼핏 볼 수 있다.백조자리의 마지막 유명 천체는 '코쿤(누에고치)성운'으로 알려진 IC5146이다. 이것은 산개성단 M39의 동남동 약 4° 떨어진 7등성 곁에 놓여있다. 희미하고 성긴 산개성단 주위의 정체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07
발톱을 가지고 있다. 또 독수리의 눈은 대단히 예리해 보통 사람의 눈에 8배짜리
쌍안경
을 달고 보는 것과 같은 시력을 자랑한다. 이 눈으로 일단 먹이를 발견하면 엄청난 속력으로 날아 예리한 발톱으로 먹이에 일격을 가한다. 일단 먹이를 잡으면 하늘 높이 솟아 오른다.그런데 타조알은 이러한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07
오히려 그냥 지나쳐 버릴 수도 있다. 8등급의 아령 성운은 썩 좋지 않은 하늘 상태에서도
쌍안경
상에 얼룩진 덩어리로 보여진다. 그 최대 지름은 만월의 4분의 1정도로 고리 성운보다 8배나 더 크고 밝아 작은 관측기구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행성상 성운이다. 망원경을 통해 볼 때 아령 성운은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7
증거가 됐기 때문이다.갈릴레이(Galilei)가 쓴 천체망원경이란 고작 오늘날 성능 좋은
쌍안경
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하지만 갈릴레이도 반달, 때로는 더욱 볼록한 모습을 지닌 금성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것은 (그림6)과 같은 천동설 우주관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림6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