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d라이브러리
"
통로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지역을 들 수 있다. 꾸준한 보존활동으로 러시아의 호랑이가 서식처를 넓혀간다면 생태
통로
를 따라 호랑이가 돌아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실제로 야생동물 보존협회에서는 러시아에 인접한 중국의 훈춘지역에 호랑이 보호지역을 지정하고 올가미를 제거해 왔다. 올가미는 사슴, 고라니 등 호랑이의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도시 깊숙한 곳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 찬바람이 생기는 곳이나 바람이 지나다니는
통로
에 고층 건물이나 빽빽한 아파트 단지를 짓지 않는 것은 기본! 풍동실험으로 미리 보는 바람길도시에 바람길을 내기 위해 수많은 건물을 허물고 새로 짓는 일은 사실상 어렵다. 그래서 바람길은 도시를 계획할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건축의 표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지만 결국 내부 사용자가 외부와 소통하는
통로
이다. 내부에서의 시야는 창문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창문을 최대한 크게 열면 대상은 외부 풍경과 함께 한 편의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네모난 모양으로 작게 만들면 창은 그림을 담는 액자가 된다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11
05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이공계 청소년 학술지인 ‘한국청소년과학학술지’가 바로 그런
통로
다.이 학술지는 주로 영재학교나 과학고 학생들이 이공계 대학 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하는 프로그램인 ‘R&E(연구와 교육)’를 통해 얻은 성과가 실리는데, 매년 두 번 정도 발행된다.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1
여러 개의 음색봉이 달려 있다. 문 손잡이처럼 생긴 음색봉을 뽑으면 닫혀 있던 바람
통로
가 열린다. 즉 오르간의 소리를 내려면 원하는 음색봉을 뽑아 해당 파이프에 바람이 지나가도록 하고, 건반을 눌러 건반에 해당하는 음정밸브를 연다. 어느 음색봉을 뽑느냐에 따라 밝고 명랑한 프린지팔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10
“IT는 국어가 살아 숨 쉬는
통로
” “정보기술(IT)은 국어학이 세상과 이어지는
통로
라는 생각이 들어요. 국어학 지식을 바탕으로 인터넷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한글을 교통 정리하는 기분은 해 본 사람만 압니다.” 국내 검색 소프트웨어 기업 코난테크놀로지 검색팀의 신은진 씨에게 IT업계에서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지방덩어리 양이 많아지면 동맥 두께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고 피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
가 좁아진다.동맥경화가 70% 정도 진행되면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즉 뇌에서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이 일어날 수 있고, 심장에서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심장에 피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09
비밀번호, e메일 주소가 입력 내용 전부다.가입이 끝나면 다른 사람과 얘기를 주고받을
통로
를 구축하면 된다. 내가 얘기를 들으려는 상대인‘팔로잉(follwing)’, 내가 얘기를 들려주는 상대인 ‘팔로어(follower)’를 만드는 과정이다.방법은 간단하다. 이제 막 가입한 사람이라면 화면 상단에 있는 ... ...
숨겨진
통로
‘플랫폼 9와 3/4’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09
첸 박사는 “두께 300~800nm(나노미터, 1nm=10-9m) 정도 되는 아철산염 메타 물질로 숨겨진
통로
를 만드는 중”이라며 “이 문 앞에 서 있으면 마치 거울 앞에서 있는 느낌일 것”이라고 밝혔다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09
도로를 경계로 단절돼 섬처럼 고립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의 이동
통로
를 마련해줬지만 길이 동물이 다니는 환경이 아니라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대한토목학회에서 2005년 생태공학분과를 신설한 이유도 토목공학자와 생태학자가 함께 논의해 자연과 공존할 수있는 구조물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