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생태계 살리는 비버, 산란기 송어에겐 '빌런'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유량이 줄어 물의 높이가 낮은데 비버가 만든 댐까지 길을 막으면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가 사라지는 것이다. 결국 갈색송어는 이동을 하지 못하거나 이동이 지연되는 상황에 처했다. 비버는 16세기 사냥으로 영국 전역에서 멸종했다. 영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비버를 다시 도입했다. 비버는 ... ...
조기 발견 어려운 '담도암' 발생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인접 조직이나 세포로 침입한 암이다. 담도암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수송하는
통로
인 담도계(담도, 쓸개)에 생기는 암이다. 중앙암등록본부의 2024년 발표 자료에 의하면 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인 암이다. 담도암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없고 다른 질병과 뚜렷한 증상 ... ...
2차원 신소재 '맥신' 초정밀 3D프린팅으로 270배 얇게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분야.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3D 프린터 노즐에서 잉크를 분사하면 맥신이 메니스커스를
통로
삼아 뿜어져 나온다. 이때 잉크의 메니스커스 표면에서 용매인 물이 빠르게 증발하고 내부에는 강한 인력이 작용해 맥신을 포함한 나노 물질들이 서로 결합한다. 노즐을 이동하며 이 과정을 반복하면 전기가 ... ...
차세대 무음극배터리 수명·안전성 문제 해결할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은 복합체를 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이 저장되는 금속판 위에 도포한 결과 이온의 이동
통로
넓이가 10배 이상 커져 이온이 배터리 내부에 고르게 흘러 들어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온 흐름이 균일하면 수지상돌기 형성이 줄어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이 향상된다. 연구팀은 원자력연 중성자 ... ...
기계연, 후막 전극 성능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떨어지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후막 전극이란 전자들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집전체 위에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물질이 두껍게 코팅된 전극을 말한다. 배터리의 가격을 낮추고 에너지 밀도와 용량을 높이면서도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 ...
[사이언스영상] 꿈틀꿈틀 벌레로봇
SEIZE
l
2025.02.22
말았다가 몸을 바꾸는 트랜스포머처럼 모양이 변하는 소프트로봇이 나왔다. 납작한
통로
에선 몸을 납작하게 펼쳐 기어가고 줄을 타야 할 땐 몸을 김밥처럼 말아 중앙에 줄을 끼고 기어간다. 환경에 유리한 모양으로 몸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김호영 서울대 교수팀은 이 로봇에 '스냅 팽창식 ... ...
2023년 공학 분야 외국인 박사 7년만에 두배…30%는 중국 출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기반한 유입보다는 다양한 국가의 인재들에게 유입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통로
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국가 차원에서 대표적인 대학원 유입 정보 제공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공학 분야 외국인 박사 졸업자 현황을 ... ...
콧속 박테리아, 뇌로 약물 전달하는 데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뇌로 약물이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비강(콧속)
통로
에 사는 박테리아가 약물을 뇌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쥐 실험 단계 연구지만 향후 인간에게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매튜 욱 창 국립싱가포르대 생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비강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억제신호를 차단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HCN 채널은 심장과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
통로
다. 연구팀은 나아가 초파리 미각기관에서 감각모 전위 같은 미세환경 없이 신경세포 사이에서도 전기적 억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파리 미각기관을 보편적인 전기연접 억제 모델로 ... ...
담배 금단증상 극복, 뇌 속 신경 메커니즘에서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신경세포다. 연구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선조체 콜린성 중간뉴런의 소듐(나트륨)
통로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해 선조체 콜린성 중간뉴런 신경세포의 활성을 줄였다. 그 결과 니코틴 금단으로 인한 손 떨림 증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됐다. 뇌 속 간질액의 성분을 분석하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