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 필요없는 스마트워치 나올까…체온으로 전기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부족하다. 연구팀은 이온
통로
를 잘 확보할 수 있도록 전해질을 설계했다. 이온
통로
가 충분히 확보되자 열 확산이 추가 전압 상승을 유도하며 전체 출력이 향상됐다. n형 고체 열갈바닉 전지 100개를 레고 블록처럼 직렬로 연결하면 체온으로부터 약 1.5볼트(V)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일반 AA ... ...
남극 1087m 두께 빙하 아래서 살아남은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8.18
채취했다. 청정 열수시추 기술은 고온의 멸균수를 고압으로 분사해 빙하를 녹이며
통로
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기계식 드릴과 달리 오염물 유입 위험이 적고 빠르게 수 km 깊이까지 접근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은 여과·멸균 과정을 거쳐 외부 미생물이 섞이지 않도록 철저히 ... ...
"中 과학 인재 유치, 글로벌 존재감 높였지만 한계 봉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있다는 문제도 있다. 미국은 중국 과학자들이 미국의 지적 재산과 영업 비밀을 훔치는
통로
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의 과학 위상이 높아질수록 중국과 미국 간 지정학적 긴장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중국은 해외 인재 영입의 한계를 직면해 최근에는 중국 내에서만 연구해온 연구자들에 주목하고 ... ...
전극 접착제 바꿔 전기차 배터리 용량 1.5배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7.30
이온을 띠는 사슬 구조가 존재한다. 사슬들은 스스로 정렬해 '이온 클러스터'라는 작은
통로
를 만들어 리튬 이온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이온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전극이 두껍거나 복잡해도 이온이 막힘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충·방전 효율을 높인다. ISP는 고무처럼 ... ...
좁은 틈도 문제없다…근육 닮은 초슬림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시트처럼 보이지만 내부에는 수십 개의 작은 공기주머니와 이를 연결하는 다채널 공기
통로
가 층층이 들어 있다. 이 시트에 공기를 순서대로 주입하면 표면의 돌기들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며 작은 힘을 차곡차곡 모아 큰 이동을 만들어 낸다. 로봇이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돌기만 이용해 ... ...
한빛 2호기 원전 임계 허용…증기발생기 세관 정비·보강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증기발생기 세관은 터빈을 구동해 전기를 생산하는 고온·고압의 증기가 흐르는
통로
다. 세관 누설시험과 와전류탐상검사 결과에 따라 세관 총 1만6878개 중 정비 대상 231개에 대해 슬리빙 작업(224개)와 관막음 정비(7개)가 완료됐다. 와전류탐상검사는 금속 재료의 표면과 표면 근처의 결함을 ... ...
뇌, 포도당 선택적으로 인식…식욕조절 새 패러다임 제시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장-뇌 회로다. 반면 아미노산이나 지방 등 기타 영양소는 미주신경(vagus nerve)이란 다른
통로
로 뇌에 전달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미주신경이란 감각, 운동, 자율신경 조절까지 담당하는 신경이다. 연구팀은 광유전학적 억제 실험에서도 공복 상태의 생쥐에서 CRF 뉴런을 억제하면 동물은 더 이상 ... ...
LNG 선박 연료탱크, 반복작업 없는 '하이브리드 용접'으로 제작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구멍을 뚫는 키홀(keyhole) 최적화가 비결이다. 키홀은 재료 내부까지 열을 전달하는
통로
로 키홀을 통해 두꺼운 소재도 한 번의 용접만으로 단단하게 이어 붙일 수 있다. 곡면이나 복잡한 모양의 부품에도 적합하다는 평가다. 연구팀은 HLAW 공정에서 실시간 품질 감지가 가능한 인공지능(AI) 기반 ... ...
[사이언스영상] 작은 터널 하나로 양서류 80% 살렸다
SEIZE
l
2025.06.14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양서류뿐 아니라 곰, 스라소니, 뱀 등 다른 동물들도 지하
통로
를 이용하는 것이 확인돼 생태계 연결성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instagram.com/p/DKlref4pbJO/?igsh=MWVhYXJobnVnb2lpNw= ... ...
체내 지방세포 쌓이는 원인 찾았다…전기신호 경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대사 이상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TREK-1은 신경세포 등에서 널리 알려진 칼륨
통로
단백질이지만 지방세포에서의 기능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호르몬이나 수용체 기반의 신호전달 경로에 집중했다. 세포막 이온 흐름 조절을 통한 비만 억제 접근은 ‘미지의 영역’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