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LNG 선박 연료탱크, 반복작업 없는 '하이브리드 용접'으로 제작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구멍을 뚫는 키홀(keyhole) 최적화가 비결이다. 키홀은 재료 내부까지 열을 전달하는
통로
로 키홀을 통해 두꺼운 소재도 한 번의 용접만으로 단단하게 이어 붙일 수 있다. 곡면이나 복잡한 모양의 부품에도 적합하다는 평가다. 연구팀은 HLAW 공정에서 실시간 품질 감지가 가능한 인공지능(AI) 기반 ... ...
[사이언스영상] 작은 터널 하나로 양서류 80% 살렸다
SEIZE
l
2025.06.14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양서류뿐 아니라 곰, 스라소니, 뱀 등 다른 동물들도 지하
통로
를 이용하는 것이 확인돼 생태계 연결성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instagram.com/p/DKlref4pbJO/?igsh=MWVhYXJobnVnb2lpNw= ... ...
체내 지방세포 쌓이는 원인 찾았다…전기신호 경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대사 이상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TREK-1은 신경세포 등에서 널리 알려진 칼륨
통로
단백질이지만 지방세포에서의 기능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호르몬이나 수용체 기반의 신호전달 경로에 집중했다. 세포막 이온 흐름 조절을 통한 비만 억제 접근은 ‘미지의 영역’으로 ... ...
복잡한 한국 금융 보안SW, 오히려 해킹
통로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충돌해 새로운 공격 경로로 악용된다"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도구가 오히려 공격의
통로
로 쓰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기된 일부 취약점은 연구팀의 제보를 통해 개선됐지만 근본적인 설계 취약점은 해결되지 않아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웹 브라우저의 보안 메커니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상황이 달라졌다.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북극의 베링 육교가 물에 잠겼고 대륙 간 연결
통로
가 끊겼다. 동시에 북미의 넓은 초원은 습지와 이탄지로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 ...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처음 밝혔다…"지방산 산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억제하면 암세포 성장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SLC25A20은 암세포에 지방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
로 이를 차단하면 암이 에너지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된다”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김 연구부장이 대표로 있는 자회사 ‘NCC ... ...
화성 먼지, 미세먼지보다 독하다
과학동아
l
2025.05.03
1마이크로미터는 100만 분의 1m)다. 게다가 이 먼지들은 정전기를 띠면 우주복이나 출입
통로
에 달라붙어 거주 공간 내부로 유입되기 쉽다. 이번 결과는 화성 먼지가 향후 유인 탐사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왕 연구원은 논문을 통해 "우주복을 뚫는 먼지를 걸러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 ...
고체 생체시료, 빠르고 균질하게 액체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시료로 전환할 수 있는 전처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스크류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
를 함께 설계해 액상화된 시료를 효율적으로 회수해 시료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처리 효율을 극대화했다. 기존 고체 시료의 전처리 기술은 장비의 부피가 크고 처리 시간이 수십 분 이상 소요된다. 시료 ... ...
美, 동물실험 폐지 수순…한국 과학자, 오가노이드로 감각신경회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입증했다. 나트륨 채널은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단백질
통로
다. 특히 통증 감지의 핵심 단백질로 확인된 'Nav1.7'의 나트륨 채널에 돌연변이를 유도했을 경우 회로의 신경 활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됐다. 반대로 이 채널을 비활성화했을 때는 회로 전체의 활동이 ... ...
전도성·접착력 모두 잡은 신물질로 차세대 해수전지 성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개발했다. 고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성 영역은 전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
를 제공해 전도성을 높인다. 비결정성 영역은 고분자 사슬이 유연하게 움직이며 다른 표면에 결합하기 쉬워 접착력을 높인다. 개발된 바인더를 적용하자 기존 플라스틱 소재인 PVDF 바인더를 쓴 경우보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