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뉴스
"
통로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잡한 한국 금융 보안SW, 오히려 해킹
통로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충돌해 새로운 공격 경로로 악용된다"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도구가 오히려 공격의
통로
로 쓰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기된 일부 취약점은 연구팀의 제보를 통해 개선됐지만 근본적인 설계 취약점은 해결되지 않아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웹 브라우저의 보안 메커니즘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상황이 달라졌다.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북극의 베링 육교가 물에 잠겼고 대륙 간 연결
통로
가 끊겼다. 동시에 북미의 넓은 초원은 습지와 이탄지로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 ...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처음 밝혔다…"지방산 산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억제하면 암세포 성장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SLC25A20은 암세포에 지방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
로 이를 차단하면 암이 에너지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게 된다”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김 연구부장이 대표로 있는 자회사 ‘NCC ... ...
화성 먼지, 미세먼지보다 독하다
과학동아
l
2025.05.03
1마이크로미터는 100만 분의 1m)다. 게다가 이 먼지들은 정전기를 띠면 우주복이나 출입
통로
에 달라붙어 거주 공간 내부로 유입되기 쉽다. 이번 결과는 화성 먼지가 향후 유인 탐사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왕 연구원은 논문을 통해 "우주복을 뚫는 먼지를 걸러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 ...
고체 생체시료, 빠르고 균질하게 액체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시료로 전환할 수 있는 전처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스크류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
를 함께 설계해 액상화된 시료를 효율적으로 회수해 시료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처리 효율을 극대화했다. 기존 고체 시료의 전처리 기술은 장비의 부피가 크고 처리 시간이 수십 분 이상 소요된다. 시료 ... ...
美, 동물실험 폐지 수순…한국 과학자, 오가노이드로 감각신경회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입증했다. 나트륨 채널은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단백질
통로
다. 특히 통증 감지의 핵심 단백질로 확인된 'Nav1.7'의 나트륨 채널에 돌연변이를 유도했을 경우 회로의 신경 활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됐다. 반대로 이 채널을 비활성화했을 때는 회로 전체의 활동이 ... ...
전도성·접착력 모두 잡은 신물질로 차세대 해수전지 성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개발했다. 고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성 영역은 전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
를 제공해 전도성을 높인다. 비결정성 영역은 고분자 사슬이 유연하게 움직이며 다른 표면에 결합하기 쉬워 접착력을 높인다. 개발된 바인더를 적용하자 기존 플라스틱 소재인 PVDF 바인더를 쓴 경우보다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제안했다. 하드카본은 탄소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얽힌 구조다. 내부에 크고 작은
통로
가 많아 리튬이나 나트륨 이온이 이동하기 쉬워 빠른 충전과 높은 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다. 구조적으로도 단단해 반복적인 충·방전을 잘 견딘다. 규산염 광물인 주석은 에너지 저장에 관여하는 활물질로 ... ...
통증 못느끼는 마취…전기 신호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12
해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하는 물질입니다. 대표적인 부분 마취제인 '리도카인'은 나트륨
통로
에 달라붙어 이온의 이동을 막는데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없어서 탈분극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경 세포는 전기 신호를 만들 수 없고 신호가 없으니 뇌는 통증을 느끼지 않지요. ... ...
[동물do감] 생태계 살리는 비버, 산란기 송어에겐 '빌런'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유량이 줄어 물의 높이가 낮은데 비버가 만든 댐까지 길을 막으면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가 사라지는 것이다. 결국 갈색송어는 이동을 하지 못하거나 이동이 지연되는 상황에 처했다. 비버는 16세기 사냥으로 영국 전역에서 멸종했다. 영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비버를 다시 도입했다. 비버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