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그림의 떡도 30번 보면 배불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음식을 먹는 상상을 할 때나 음식 사진을 반복해서 볼 때, 우리 뇌의 특정 부분이 음식을 먹을 때와 똑같이 활성화*되기 때문이에요.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연구팀은 1149명의 참가자를 두 팀으로 나눴어요. 한 팀에게는 주황색 초콜릿 사진을 30번 반복해서 ... ...
- [모집] 대만탐험대! 세계적인 지질학자와의 여행에 초대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그림 같은 풍경을 만들어내는 현무암 절벽부터 에메랄드 빛 바다까지 두루두루 만나볼 계획이랍니다!대만 탐험대의 일정을 듣고 설렜나요? 어과동 독자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합니다! 대만의 지질 환경을 직접 보고 깊이 배울 수 있는 흔치 않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용감하고 호기심 넘치는 우리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다양한 동물 행동 설명으로 이어졌지요. “그런데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은 야생에서는 볼 수 없는 비정상행동을 하기도 해요. 비정상행동 중에서도 특히 목적이나 기능 없이 동물이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행동을 정형행동이라고 합니다.”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은 먹을 것도 많고, 천적으로부터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둥근 모양의 스티로폼 구와 스마트폰 불빛을 이용해 달의 모습이 변하는 원리를 이해해 볼 거예요. 그다음에는 클레이를 이용해 다양한 달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어요. ‘달 위상 변화 실험과 액자 만들기’에는 세 가지 색깔의 클레이가 들어 있습니다. 어두운색 클레이로 달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샌디에이고 교수는 이 지수가 40이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추정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위튼 교수는 실로 대단한 물리학자임을 알 수 있지요. 용어 설명*양자장론 : 전기장, 자기장처럼 공간에 펴져 있는 물리장을 양자역학적으로 다루는 이론이다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에모기과 중 점등에모기속 곤충들은 흡혈을 하면서 축산질병을 옮기기 때문에 눈여겨볼 필요가 크다. 다행히 국내에선 아직까지 인수공통감염 사례가 없고, 한국의 겨울은 워낙 추워서 감염 사이클이 이어지기 전에 병원체를 가진 점등에모기가 모두 죽는다. 이 연구원은 “(하지만) 한국도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성돼 있다면 광자를 흡수하고 그 과정에서 전자를 방출해 빔을 발사하는 상상도 해볼 수 있습니다. 광자의 에너지를 활용하는 사례는 또 있습니다. 지구에서 수만 km 떨어진 우주에서 말입니다. 2019년 6월 다국적 비영리 단체인 ‘행성협회(Planetary Society)’는 커다란 돛을 단 우주선 ‘라이트세일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석영’이라고 알고 있을까? 그 이유는 지석영이 활동한 시대의 분위기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지석영은 조선 정부와 가까운 사이였다. 그는 조선 정부 인사였던 박영선을 통해 우두법을 알게됐다. 박영선은 일본에 다녀온 수신사의 일행이자, 서기부사과의 직책을 맡은 정부측 인사였다.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버섯은 쉽게 볼 수 없습니다. 망사가 예쁘게 펼쳐진 노란망태말뚝버섯도 운이 닿아야 볼 수 있죠. 말뚝버섯은 자라는 속도가 빠른 만큼, 힘 또한 매우 강력합니다. 2000년에 닉시치라는 세르비아의 균학자가 자신의 집앞을 걷다가 도로가 부서진 모습을 보았습니다. 가까이 가 보니, 말뚝버섯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각각 볼록렌즈로 확대하여 보여줘 입체감과 몰입감을 주는 것이죠. 그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매직아이도 비슷한 원리예요. 유튜브 영상에 ‘VR 보기’를 누르면 같은 화면이 두 개로 나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또한 VR기기 속에는 ‘자이로스코프’라는 특수 센서가 들어 있어요. 센서가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