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사
독살
거주
독기
d라이브러리
"
살기
"(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심해에서 알을 낳는 문어 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알을 낳는 모습을 발견했어요. 그런데 이 심해는 수압도 강하고 수온도 높아 문어가
살기
에 좋은 환경이 아니에요. 연구진은 “차가운 물이 흐르는 주변의 바위틈에는 더 많은 문어가 산다고 추측된다”며, “발견된 문어는 그곳에서 밀려난 개체일 것”이라 말했어요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곳으로, 유황 등 독성 물질을 내뿜으며, 주변 바다보다 수압·수온이 높아 일반 생물이
살기
어렵다. 그 지역에 적응한 생물들만 진화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이루며 살고 있어 ‘바닷속 작은 우주’로도 불린다. 태평양에는 열수공이 수십 개 이상 존재하지만, 인도양에서 발견된 열수공은 이전까지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뜻으로 사용했다.흔히 쓰이는 ‘명당(明堂)’이라는 말도 풍수에서 나온 것이다. 명당은
살기
에 좋은 장소와 공간을 가리키는 말로, 이를 환경공학적으로 바꾸면 최적의 자연환경 조건을 갖춘 곳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풍수는 삶터의 자연환경을 이해하고 평가·관리하는 사회공동체의 ... ...
[가상인터뷰] 멸종을 눈앞에 둔 북부 흰코뿔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멸종 위기종이 되었지. 우리 둘은 원래 체코의 한 동물원에 살았지만, 사람들이 좀 더
살기
좋은 기후로 옮겨 주었어. 그래서 지금은 아프리카 케냐 라이키피아의 올-페제타 보호구역에서 지내고 있단다. 밀렵꾼들이 오지 못하도록 사육사와 군인들이 우리를 24시간 철통처럼 지키고 있지. 일리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0마리 이하)의 10만 배에 이르는 수치다. 뜨거운 햇볕과 염분 때문에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살기
힘들 것으로 생각되지만, 오히려 이런 고온과 고염분 환경이 이들에게는 번식에 안성맞춤이다.이 중 사람이 가장 감염되기 쉬운 것은 곰팡이다. 곰팡이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은 인체 피부의 모든 부위에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항만이나 부두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개미가
살기
어렵다. 하지만 주변에
살기
좋은 환경으로 남미붉은독개미가 이동할 경우 방제 작업은 어려워진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입 초기인 현재 필자를 포함한 전문가들이 남미붉은독개미 조사에 힘쓰고 있다. 여왕개미가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간단한 구조의 알코올이다. 호위 교수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는 벌집을 먹고
살기
때문에 밀랍을 분해할 수 있다”며 “덕분에 밀랍과 화학 구조가 비슷한 폴리에틸렌 분해 능력도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옥수수로 타이어 제작(PM 07:00 자전거를 타고 한강으로 나갔다. 오랜만에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생물이 살아남을 수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기가 풍부한 각 면의 정중앙에는
살기
가 불가능하다. 한 가운데는 바다가 솟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연구팀은 정육면체 지구에서는 사람을 포함한 동식물이 해안가로부터 10km 이내에 모여 살 것으로 예상했다. 고 교수는 “볼록렌즈 모양의 바다가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드라큘라를 닮은 사향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강원도 지역의 숲속에 소수만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사향노루는 겨울이 되면
살기
가 더 어려워져요. 풀이나 열매 같은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이지요. 눈 내리는 겨울, 더 이상 사향노루가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반성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이제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공존하는 삶을
살기
위해 새롭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다. 오늘날 인류는 현 세대와 미래 세대는 물론 자연까지 책임지는 새로운 가치관의 전환을 모색해야만 한다. ‘생태중심주의적 관점’은 그러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