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사
독살
거주
독기
d라이브러리
"
살기
"(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2024시민과학 프로젝트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하지요. 상류의 물은 맑고 시원하며, 바닥이 돌과 바위로 이뤄져 있어 물고기들이
살기
좋은 집이 됩니다. 중류나 하류에선 보기 힘든 특별한 물고기들이 살고 있지요.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상류에 어떤 물고기들이 살고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해요. 팀명 : 아르마딜리움(이디엘 연구원)_프로젝트 : ... ...
[특집] 비둘기, 인간과 함께 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고려하고 있습니다. 집비둘기의 개체 수를 줄이는 것만으로 인간과 집비둘기가 함께
살기
는 어려워요. 우리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개체 수가 줄어도 여전히 털 날림 등의 이유로 불편해 할 수 있죠. 동물자유연대 사회변화팀 정진아 팀장은 “집비둘기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에 대해서 연구가 ... ...
[가상인터뷰] 유로파에서 하루 1000t의 산소가 쏟아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지난해 9월에는 유로파 지하 바다에 탄소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어. 탄소 역시 생명체가
살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성분이야. NASA는 오는 10월 유로파 전용 우주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를 발사해 유로파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조사할 예정이야 ... ...
[가상 인터뷰] 체르노빌 늑대, 암 회복력이 생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우리 늑대도 체르노빌 지역에 살게 된 거야. 높은 수치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동물도
살기
힘들지 않아? 우리 늑대들은 방사능의 존재에 대해 잘 몰랐어. 사람들이 떠난 체르노빌 출입 금지 구역에서 늑대는 다른 곳보다 7배나 더 많이 살고 있었지. 지난 2014년부터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세포가 쌀알에 오래 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젤라틴과 mTG 효소를 코팅해 쌀알을
살기
좋게 꾸며 보아요.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왜 하필 쌀이었을까? 굳이 소 세포를 쌀알에서 키운 이유는 뭘까요? 그냥 소 세포만 키우면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더 높을 텐데 말이에요.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제가 SF에 진지하게 몰입하기 시작했던 1990년대와 2000년대만 해도 한국은 SF 키즈로
살기
에 외로운 곳이었습니다. 일단 SF에 관한 정보와 작품들이 충분치 않았어요. 그 무렵 과학동아에 연재된 SF평론가 박상준 님의 SF 칼럼들은 제게 가뭄의 단비처럼 소중했죠. ‘라마와의 랑데부’ ‘중력의 임무’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너무 많이 내뿜는 별은 그 주위를 도는 행성의 대기를 없애버리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
어렵다. 그래서 에너지를 적게 내뿜는 적색 왜성을 도는 행성 중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범위에서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았다. 시거는 정확하게 구하기 어려운 두 변수는 0.5(=50%)로 두고 나머지 값들을 계산한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볼펜으로 대충 숨구멍을 뚫고는 박스를 문밖에 내놓았다. 생쥐들은 위험을 감지했는지
살기
위해 필사적으로 플라스틱 벽을 긁어댔다.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솥을 보는 것 같았다.“나오세요.” 멀리서 경비원이 다가와 내게 밖을 향해 손짓했다. 아직 정리할 것이 남았으니 시간을 더 달라고 말하려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이제 마지막으로 소개할 것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다. 바로 ‘오래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다. 당뇨병은 췌도 속 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며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이는 베타세포를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동안 당뇨가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한 이유다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살아간단다. 남극은 너무 춥지 않아? 남극은 추운 곳이지만 턱끈펭귄들은 남극에
살기
적합하도록 진화했어. 척박한 육지를 날기 보단 먹을 것이 풍부한 바다에서 헤엄치는 것을 선택한 거야. 턱끈펭귄은 바닷가에 살면서 크릴을 잡아먹고, 알도 낳고, 새끼도 기르며 지낸단다. 알을 낳으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