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d라이브러리
"
성층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1815년 인도네시아의 탐보라(Tambora)화산 폭발은 30㎢의 지역에 화산재와 먼지를 분출했다.
성층
권을 타고 지구 위에 확산된 분출 물질이 태양광선을 차단, 다음 해인 1816년 유럽에서 '여름 없는 해' 현상을 나타냈다. 이 해 지구 전북반구 지역에서 곡식의 수확이 없었고 대규모 기근으로 이어졌다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있다. 1991년6월15일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 폭발로 주춤했던 지구 온난화가 근래에 들어
성층
권의 화산 먼지가 많이 제거돼 다시 진행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온난화가 일어나면 기온이 점차적으로 올라간다기 보다는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이상난동 한파 홍수 가뭄 등이 세계 각처에서 더 빈번히 ... ...
질소화합물, 오존층 파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미국 항공우주산업이 프랑스의 콩코드와 같은 초음속항공기를 만들지 않는 이유중의 하나는 오존층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초음 ... 것은 아니다. 상부
성층
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NASA측은 곧이어 상부
성층
권에 대한 2차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화산활동을 보인 필리핀 루손섬의 피나투보(Pinatubo) 화산은 거대한 양의 에어로졸을
성층
권에 유입시켜 지표면을 지역에 따라 0.5℃까지 냉각시켰다. 그러나 화산활동에 의한 에어로졸은 2-3년의 짧은기간 동안 대기중에 머무르기 때문에 그 영향은 짧다(사진2). 지구온난화, 냉각화 요인 고려 후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들 화산분출물이 번갈아 쌓여 점차 큰 규모의 백두산
성층
화산추를 형성했다.백두산
성층
화산체가 형성된 후 지하 심부의 마그마방은 평온하게 되면서 오랜 기간에 걸쳐 광물의 정출에 수반하여 휘발성 성분이 점차로 집중되고 마침내 수증기압이 커지면서 다량의 부석과 화산회를 분출한다.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가지가 아니다.오존층의 파괴는 한때 지구 멸망의 위기감을 증폭시킨 바 있다. 지구의
성층
권에 자리한 오존층의 구멍이 커질수록 그만큼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의 차단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피부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인간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 1/3이 피부암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6 ... ...
지구과학- 지표근처암석 75% 퇴적암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성질을 가진다. 이는 광물의 배열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성층
면 등으로 생긴 틈에서 기인된다(사진9).엽리는 암석이 재결정 작용을 받아 운모와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돼 나타나는 조직이다.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할 정도로 작으며 원래의 퇴적물에 나타난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결과 아주 뜨거운 CO가 발견됐다. 충돌 구름은 약 2백50km 지역의
성층
권에 떠 있으므로
성층
권 바람 속도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인데, 이전에 이론적으로 예측한 바와 같이 대류권 바람 속도보다 아주 천천히 움직인다는 것이 확인됐다.천문학자들은 충돌자국은 서서히 식어갈 것이며 두달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흡수량과 오존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에 의한 태양복사 방출량 사이의 복사평형이
성층
권 오존 감소에 따른 온도감소로 인해 균형이 깨져 온도분포에 변화가 발생한다. 그 결과 대기대순환의 기류형태가 변화, 기후변화를 초래하게 된다.엘리뇨 현상은 적도 부근 동부태평양(페루 앞)의 해수온도가 ... ...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방향이 다르므로, 충격에 의해 대류권 층에 생긴 현상을 비로소 드러내게 될 것이다.
성층
권에서의 얼음 미립자 구름들은 분산되고, 승화되어 또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서서히 없어질 것이다. 그러나 대류권에서의 현상은 잘 예측할 수 없다.만약 폭발 당시 10기압 근처의 분자들이 대류권에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