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실"(으)로 총 2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에 땀을 쥐는 이유과학동아 l1990년 07호
-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때로는 피부로 혈액이 증가돼 실신할 수 있다.땀의 증발로 소실된 수분과 전해질이 보충이 안될 경우에는 갈증을 느끼며 환각증세 및 정신착란이 생긴다. 만일 땀으로 없어진 수분은 물을 마셔 쉽게 보충이 되지만 전해질이 보충되지 않으면 메스꺼움 구토 근육경련 등이 ... ...
- Ⅳ 호르몬제의 작용과 부작용과학동아 l1990년 07호
-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같은 후엽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이 부족될 때는 항(抗)이뇨효과가 소실돼 요붕증(오줌소태증)이 유발된다. 이런 경우 생명을 보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약물치료가 필수적이다. 이때 치료제로 쓰이는 것이 바로 바소프레신이란 호르몬이다.또 부신피질호르몬은 류머티즘에 ... ...
- 기억의 메커니즘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일정한 정보내용에만 주의를 기울인다면 다른 정보들은 어느 정도까지 처리되고 소실되는가. 이는 곧 선택적 주의가 어느 시기에 일어나는가 하는 문제가 된다.더 처리할 정보인지 아니면 버릴 정보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주의이므로, 주의는 일종의 여과장치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정보를 ...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심장 및 호흡기능의 정지, 또는 뇌간을 포함한 전(全)뇌기능의 불가역적(不可逆的) 소실"을 채택, 종래의 심장사에다 뇌사까지 새로운 죽음으로 인정하자는 결론을 냈다.신경외과의사 등이 중심이 된 뇌사특위 위원들은 뇌사인정의 타당성으로, 뇌사자의 장기를 이식함으로써 다른 생명을 구할 수 ... ...
- 장수와 단명 가르는 세 인자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없는)이라는 점이다.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생체기능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직선적으로 소실(감소)된다. 특히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중요 기관계(예컨대 심장 혈관 신장 폐)의 기능이 점차 저하된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사람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창간됐을 때 자모 전부를 제작했던 일과 10여년전 한국일보에 화재가 발생해 활자들을 소실했을 때 우리 글씨로 대체해준 일이다.정부차원의 적극투자 아쉬워지금은 컴퓨터시대, 앞으로 모든 인쇄물은 컴퓨터를 이용하지않고는 제작될 수가 없는 날이 올것이다. 특히 전자출판에 관한 기술이 날로 ... ...
- PART4 나는 과연 정상인가?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음부포진이 일단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인체에 감염되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병변이 소실된 후에도 계속 몸 안에 잠재하여 있다가 어떤 유발요인에 의해 재발된다.증상은 감염 3~7일 후 음부에 수포가 발생, 발열 무력감 등 전신증세를 동반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또 자궁경부에 감염되면 질 ...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과학동아 l1989년 09호
- 어디로 갔을까? 어딘가에 축적되어 언젠가 다시 빠져 나오는 것일까?현재 우리는 이 소실된 에너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이번에는 장기간의 태양상수변화에 대해서 점검해 보자. (그림2)의 오른쪽 그래프에서 보듯이 아주 미세한 양이지만 4년에 0.1%의 비율로 태양의 밝기가 감소한다. ... ...
- 내일의 자동차 세라믹차는 어떤 것일까과학동아 l1989년 06호
- 추이로 볼 때, 엔진용 제품의 실용화는 다음과 같이 진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예연소실(precombustion chamber) 밸브(valve) 피스톤 핀(piston pin), 타펫 면(tappet face) 포트 라이너(port liner) 등은 1990년쯤에 개발될 것이다.또 세라믹 디젤 엔진(ceramic diesel engine)은 1 ...
- 모스크바과학동아 l1989년 03호
- 더욱 발달되었고 문화활동도 활발했다.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침공때(1812년) 시가지가 소실되었으나 몇해 사이에 복구되어 섬유 금속가공 화학등의 공업이 성하면서 인구도 늘어갔다. 19세기 말에는 인구 1백만이 넘는 거대도시가 되었으나 급속하게 증가한 노동자 등 도시하층민의 빈곤문제가 ... ...
이전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