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체스마스터] 승자도 패자도 없다! 스테일메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로 이동했어요. f7의 흰색퀸은 검은색 킹의 길을 막지요.체스에서 킹은 스스로 체크 당할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검은색 킹은 어느 칸으로도 움직이지 못해요. 이때 체스판 위에 검은 색 팀의 기물이 킹 밖에 없다면 ‘스테일메이트’가 되어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요. 그런데, 움직일 수 있는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형태와 크기,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기하학. 수와 수의 연산 등 수학적 구조의 성질을 연구하는 대수학. 두 학문은 서로 매우 다른 것 같지만, 도형과 식을 긴밀하게 연결해주는 밀접한 관계다. 그래서 인문학자와 수학자가 함께 대수학과 기하학 사이의 관계를 탐구해보려고 한다. 첫 번째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한반도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역서를 받아 사용했는데, 문제가 많았다. 중국과 한반도의 위치가 다른 만큼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이나 낮밤의 길이 등에 오차가 생긴 것이다. 그런데 세종 시대에 완성한 칠정산을 적용해 역서를 계산한 이후부터는 이런 시간을 오차 없이 구할 수 있게 ㅂ됐다고 말한다.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움직였다. 우리는 훈련받은 대로 행동했다. 팀을 짜 교대로 관리실을 지켰다. 우주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운석 등의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지 살폈다. 작업을 반복하다 보면 지구에서 벌어졌던 일은 지난 생의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따금 모니터 너머의 검은 우주를 볼 때면 지아를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상황입니다. 특히 이곳은 지어진지 오래되어 시설이 낡고 면적이 크지 않은데,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전체 동물원 면적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제한된 공간에서 장기적으로 전시동물들의 종류와 수를 줄여 집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계획입니다 ... ...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쥐가 케이지 안에 들어오자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어. 동시에 쥐의 시상하부 복내측에 위치한 뉴런이 활성화됐지. 그런데 투명한 칸막이 너머로 싸움을 지켜보던 쥐의 뉴런도 활성화됐어. 싸움을 보는 것만으로도 뉴런이 작동했다고? 연구팀은 시상하부 복내측에 있는 거울 뉴런이 쥐가 싸울 때와 ... ...
- [특집]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어느 날 새벽, 잠을 자다가 지진 경보 문자가 울리며, 집이 흔들린다고 상상해 보세요. 지진은 언제 일어날지 미리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항상 대비 ... 센터장은 “폭우가 내리면 지표의 지층이 침식돼 버리기 때문에 침식되지 않은 지층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
- [냠냠! 어수잼] 우리 집이 날아갔어! 다정이의 사라진 정다각집4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규칙에 맞게 붙일 수 있을까요? 정삼각형을 위쪽이나 아랫쪽으로 뒤집으면 꼭짓점의 위치가 바뀌어요.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뒤집으면 뒤집은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지요. 하지만 아무리 뒤집어도 정삼각형을 이루는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답니다. ☞오디오로 들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환경에도 잘 버티는 식물의 꽃가루가 발견된 위치로 지류와의 거리를 추정해 지류 위치를 파악했어요. 연구팀은 과거 물줄기의 이름을 ‘쿠푸 지류’라고 붙였고, 퇴적층 시료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위가 낮아졌다고 분석했어요. 건축 당시엔 물건을 운반하기에 수위가 충분해 피라미드를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길을 찾을 때 쓰는 GPS가 있어요. GPS는 지구 밖에 있는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주고받아서 위치를 추적해요. 이 인공위성의 시간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상대성 이론이 필요하고, 그게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통해서 계산이 이뤄지지요. 이런 식으로 수학의 발전이 물리학의 발전을 이루고, 결국 기술의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