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즈' 웃고 있는 태양 얼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태양 자외선이나 X선 영상에서 주위보다 어둡게 관측되는 부분을 뜻한다. 태양의
바깥
층에 속하며 태양풍이 우주로 분출되는 영역이다.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 교란을 일으킨다. 인공위성의 이상동작 현상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NASA는 이런 영향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 ... ...
머릿속 상상으로 작동하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얻은 상상 뇌신호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고 말했다. 장 박사과정 연구원은 경기장
바깥
에서는 사람들의 함성소리들을 구분할 순 없지만 경기장 안에 들어가면 옆의 관중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 있다고 비유했다. 연구팀은 측정한 상상 뇌 신호에 기계학습 기법을 더해 측정 정확도를 높였다. ... ...
겨울 추위 저장했다가 여름에 꺼낸다
과학동아
l
2022.10.03
사이에 온도 차가 생긴다. 이때 모세관 튜브 속 냉매가 진동해 비교적 따뜻한 물의 열을
바깥
으로 내보낸다. 열을 뺏겨 차가워진 물은 여름까지 보관했다가 냉방에 사용한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제공 겨울철 추위를 땅속에 저장했다가 여름에 꺼내 쓸 수 있다면 어떨까. 윤영직 ... ...
소행성 '류구' 시료 안에서 물방울 확인…지구밖 기원설 뒷받침
연합뉴스
l
2022.09.23
미치지 않는 먼 외곽까지 이동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안쪽과
바깥
쪽 물질이 대규모로 뒤섞였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됐다. [JAXA 제공/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eomns@yna.co.kr (끝) ...
제임스웹, 해왕성 고리 포착...보이저 2호 이후 33년만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하나였는데 해왕성의 중력에 이끌려 위성이 됐을 거라고 추청한다. 카이퍼벨트는 해왕성
바깥
쪽에서 행성으로 커지지 못하고 태양계를 돌고 있는 작은 천체와 얼음 알갱이들을 일컫는다. 이외에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해왕성의 위성 14개 중 7개를 관측했다. ... ...
한국 과학자, 미래에너지 핵융합 운전방식 주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이 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운전방식을 개발했다. 한 책임연구원은 “기존 H-모드가
바깥
쪽부터 중심부로 플라즈마를 가열한다면 FIRE는 중심부에서부터 가열하는 것이 차이”라며 “성능이 H-모드와 비슷하면서도 플라즈마 내의 불순물 축적도 없어 다른 불안정성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 ...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한다. 지구는 거대한 우주 속의 소형 행성에 불과하지만, 인간의 심저에는 우주를 지구의
바깥
세계, ‘외계’로 보려는 의식이 자리잡고 있다. 지구는 생명활동에 절대적인 대기로 덮여 있으며, 그 대기권의 끝자락을 지구의 경계로 보려는 것이다. 실로 그 경계의 실체는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 ...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연합뉴스
l
2022.08.26
는 뇌의 미세한 혈관을 감싸고 혈류 조절을 돕는다. 독성 단백질 등 뇌의 노폐물을
바깥
의 혈류로 배출하는 완벽한 위치에 자리 잡은 게 바로 성상교세포의 '종말 단추'인 것이다. 뇌의 혈뇌장벽을 구성하는 모세혈관 내피세포(적색)와 주변세포(녹색). 혈뇌장벽은 뇌혈관과 뇌 조직의 안정성을 ... ...
[기자의 눈] 2년 만에 정상 개최됐지만 불친절했던 과학축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테크랩'은 서로 다른 건물에 위치해 있었다. 심지어 입구가 서로 반대편에 있어 전시장
바깥
으로 나가 전체 행사장을 반 바퀴 돌아야 들어갈 수 있었다. 메인 행사장 입구에 전체 건물 지도가 있었지만 입구 표시는 명확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관람객으로 북적이는 러닝랩 전시장에 비해 테크랩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사이 계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3
설명했다. 이번 표지는 패턴을 가진 다세포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각 점을
바깥
쪽으로 성장하는 일종의 박테리아 군체, 선들은 두 박테리아가 만나며 생긴 계면을 나타낸다. 세포 사이 계면은 세포가 서로 달라 붙을 때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부착소라고 불리는 접착 분자가 매개 역할을 한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