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펙트럼
원광
폐니
뉴스
"
분광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 새로운 우주탐사용 태양전지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위해 연구비용 중 90만 파운드(13억8164만원)를 들여 400메가헤르츠(MHz)의 핵자기 공명
분광
기를 구입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금속 할로겐형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를 확인해 수명이 짧은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목표다. 원인을 찾아 단점을 보완하면 우주 임무에 적합한 새로운 태양전지 소재 물질을 ... ...
'2022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표과학자'에 김경자 우주자원개발센터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누리에서 24시간 작동하며 10초마다 달 궤도 100km에서 감마선
분광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다. 이를 활용해 물·산소, 주요 광물 등 달 표면의 원소지도와 달 우주방사선 환경지도를 만들 수 있다. 김 센터장은 "미래세대를 위한 마지막 블루오션인 달 자원탐사를 위해 ... ...
국내 첫 우주 지질자원 개발 연구조직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우주지질자원 탐사 및 활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조직이다. 센터장에는 다누리호 감마선
분광
기(KGRS)의 개발자이자 달 행성지질 전문가인 김경자 책임연구원이 임명됐다. 향후 미국 우주항공국(NASA) 및 룩셈부르크 우주청 등과의 우주자원 협력에서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
'궁수자리A 블랙홀 정체' 천문연 선정 올해 10대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천문연 시험장비는 극저온 진공상태의 우주환경 구현, 망원경의 초점면 정렬 그리고
분광
성능을 측정한다. 스피어X는 2025년 4월 발사될 예정이다. 4위는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의 초신성 빛 포착 성과다. KMTnet는 천문연이 ‘제2의 지구’를 찾기 위해 2015년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 ...
어린 별에서 생명의 기원 '유기분자' 확인...제임스웹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유기분자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집광력이 좋은 큰 망원경과 성능이 매우 우수한
분광
기가 필요하다. 제임스웹 망원경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했다. 기존의 적외선 우주망원경에 비해 감도가 100배나 높고 분해능도 10배 가까이 우수해 기체 상태의 유기분자가 관측된 태아 별 바로 인접한 곳까지 ... ...
화학 실험실 반복 실험 대체할 로봇 등장..."33배 빨리 촉매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갖는 촉매간 상대적 성능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나이트로페놀 촉매환원 반응은 UV/Vis
분광
기를 이용해 나이트로페놀레이트 이온의 흡광도 세기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시스템은 하루 100회 이상 촉매 성능 평가가 가능해 촉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통해 ... ...
'우여곡절' 끝에 가동 중이온가속기 '라온'...아직 갈 길 멀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극저온시스템 등 구축을 완료했지만 IF 시스템을 포함해 뮤온스핀공명장치, 동축레이저
분광
학 장치 등 각종 실험장치가 아직 설치를 완료하지 못했다. 가속장치 역시 저에너지 구간만 완성됐다. 가속장치는 저에너지와 고에너지 구간으로 나뉜다. 고에너지 구간은 2025년까지 필수 요소기술을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GAIA) 우주관측소에서 백색왜성 두 개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붉은색 별(WDJ2147-4035)은
분광
및 광도 측정 결과 형성된 지 약 107억년 된 것으로 분석됐다. 107억년 가운데 102억년 동안 백색왜성의 냉각과정을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별은 대기중 소듐, 리튬, 포타슘 등의 금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 ...
韓 첫 달궤도선 '다누리' BTS 다이너마이트 영상 보내와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밝혔다. 달이 지구를 통과하는 사진 15장도 함께 전송됐다. 다누리는 또 탑재된 감마선
분광
기로 블랙홀 탄생으로 발생한 감마선 폭발을 관측했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탄생 관련 감마선 폭발 현상으로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도 동시에 관측됐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공연구정책관은 ...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미세 내시경 개발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하다. 최원식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
학 및 동력학 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앞서 지난 9월 350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두께의 초미세내시경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했다. 주사 바늘(약 500μm)보다도 가는 두께다. 광섬유 다발 중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