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펙트럼
원광
폐니
뉴스
"
분광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알은 딱딱해' 韓 연구자가 美 자연서박물관 연구 결과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반박을 제기할 수 있는 논문으로 분류된다. 최 연구원은 "일부 공룡알에 대한 '라만
분광
학 스펙트럼' 결과가 말랑한 유기물에서 나오는 패턴이 아닌 전형적인 '구워진 유기물' 패턴이었다"고 밝혔다. 최 연구원은 "그간 온도가 높은 한반도의 공룡알을 연구했기에 이같은 사실을 한 눈에 알아볼 ... ...
외계행성 대기서 철 2.5배 '바륨' 포착…"가장 무거운 원소"
연합뉴스
l
2022.10.14
가스 행성인 WASP-76 b와 WASP-121 b에서 바륨을 포착했다. VLT에 장착된 첨단 고해상도
분광
장치인 '에스프레소'(ESPRESSO)로 이들 행성의 대기를 통과한 별빛을 토대로 대기 구성성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바륨의 존재를 확인했다. 초고온 목성급 가스 행성은 저온의 작은 행성들보다 대기가 넓게 형성돼 ... ...
[과학게시판] IBS 제19회 국제동위원소분리장치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2.10.02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내달 3~7일 대전 유성구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2022년 제19회 국제동위원소분리장치컨퍼런 ... 참여할 예정이다. 저․고에너지 동위원소분리장치, 가속기, 핵
분광
스펙트로미터, 레이저
분광
장치 등 광범위한 핵과학 관련 장치 연구를 논의한다 ... ...
"아르테미스 협약, 구속력 없어...적극적 협력 움직임 보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최 수석연구원은 NASA에서 40년간 일하면서 인공위성 센서와 바이오나노 배터리, 극초소형
분광
기, 태양열 로켓, 단결정 실리콘게르마늄(SiGe) 반도체 물질 등 다양한 발명품을 개발한 우주 기술 전문가다. NASA는 그 공로를 인정해 지난 2020년 최 수석연구원을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선정했다. ... ...
지질연 '美 달 자원 활용' 한국 허브 역할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지질연이 개발한 감마선
분광
기가 달려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초경량 감마선
분광
기”라고 말했다. 지질연은 월면토 휘발성 추출기도 개발한다. 2031년 발사될 한국 달착륙선에 실려 달 자원 추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달 자원 확보를 위한 기지 건설 관련 기반기술도 2031년까지 NASA와 ... ...
저온에서 성능 저하되는 배터리, 원인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3
온도에서 탈용매화 과정을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저온 장치가 장착된 푸리에 적외선
분광
기(FTIR)를 사용해 상온(26.85도)부터 영하 33.15도까지 온도를 변화시키며 리튬이온 용매 구조와 이온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리튬이온 용매 구조가 정사면체로 이뤄졌다는 기존의 정설과 다르다는 사실을 ... ...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 3D 이미지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입체로 관찰할 수 있는 초미세내시경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최원식 분자
분광
학 및 동력학 연구단 부연구단장과 최영운 고려대 바이오의공학과 부교수 공동연구팀이 주사바늘보다 가는 두께의 내시경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의 입체 이미지를 ... ...
쥐 두개골 속 신경망 투시하는 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30
필요한 산업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원식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
학및동력학연구단 부연구단장은 30일 김문석 가톨릭대 교수와 최명환 서울대 교수 연구팀과 이 같은 현미경을 개발했다며 “광학 현미경 영상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학 현미경은 ... ...
제임스웹, 이번엔 외계행성 대기서 이산화탄소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8.26
39b의 대기 구성 성분 관측 데이터 분석 결과. NASA 제공. 국제공동연구진은 JWST의 근적외선
분광
기를 이용해 WASP-39b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파장 3.0~5.5마이크로미터를 분석한 결과 4.1~4.6마이크로미터 파장 영역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기존 망원경은 ... ...
차세대 양자 소재 물성 측정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이용해 FGT의 고에너지 스핀의존 전자구조를 측정할 수 있었다. 전자터널링
분광
법은 전자터널링 장벽을 이용해 고체 물질의 전자구조를 에너지 변화에 따라 측정하는 기법이다. 이번에 개발된 이차원 자성체의 스핀 물성 측정 및 분석 기술은 차세대 양자위상·양자정보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