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657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리지 로켓 첫 발사 7월 말~8월 초…국내서 민간 첫 해상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중량 200kg의 탑재체를 500km 태양동기궤도(SSO)로 수송할 수 있는 2단 소형 우주발사체다.
액체
메탄을 연료로 활용한다. 페리지는 지난해 11월 제주 '하원 테크노 캠퍼스'에서 발사체 재사용 기술 확보의 핵심인 '기체 수직 이착륙 시험'을 성공했다. 시험기체인 '블루웨일 0.3'을 고도 100m까지 수직으로 ... ...
그린반도체·청록수소…탄소중립 향한 산업 현장의 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수천~수만 배에 달한다. 이은도 생기원 지속가능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팀은
액체
금속을 사용해 불소가스를 99% 이상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적은 에너지로도 불소가스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의 환경오염 물질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반도체 공정 가스 등을 공급하는 설비인 '서브팹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1인칭으로 바라보느냐 또는 3인칭으로 바라보느냐에 관한 연구들도 있지만 고체이기보다
액체
같고 정해져 있기보다 흘러가는 자아에 대한 연구들도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 ...
오류 적은 차세대 양자컴 실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양자 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손창희 교수는 "박막 구조가 양자 스핀
액체
후보 물질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양자 오류 정정이 필요 없는 위상 양자 컴퓨팅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n8694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KAIST, 천문우주 AI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분야에서는 지상 전투차량 방호를 위한 '대 드론 원점타격 시스템'이, 신사업 분야에서는
액체
화학물질을 분사해 위성 잔해를 제거하는 '우주쓰레기 제거 사업'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수상자에게는 총 5800만원 규모의 상금과 채용 서류전형 면제 혜택이 제공된다. 수상자의 소속 연구기관에 대한 ... ...
사람에 적용가능한 '자기입자영상' 개발…맞춤형 뇌질환 치료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전체 시야각은 9개의 작은 부분 시야각으로 나눴고 다량의
액체
헬륨이 외부로 기화돼 방출되는 현상인 퀜칭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윤 교수는 “전자기코일의 한계로 인해 휴먼스케일로 확장이 어려운 MPI 기술을 초전도체 기술과 ... ...
핵융합 구현 플라즈마 기술, 산업폐수 극미량 오염물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오염물질 제거에 필요한 자외선(UV), 오존 등이 함께 생성된다.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와는 또 다른 물질 상태로 원자핵과 전자가 따로 돌아다니는 이온화 상태를 말한다. 이어 모의 폐수가 아닌 실제 산업 현장에서 기존 처리 공정을 마친 방류수로 성능을 평가했다. 제약·전자·염색 산업에서 ... ...
탄소중립 위한 'CCUS 기술' 걸림돌 해결하는 나노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에 공개됐다. 기존 이산화탄소 전기 분해 장치는 높은 전압 조건이나 장기간 구동할 때
액체
인 전해질이 과도하게 전극에 유입되는 전해질 범람(electrolyte flood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문제였다. 전해질 범람이 일어나면 이산화탄소가 전극의 촉매에 도달하기 어려워져 성능이 떨어진다. 은 촉매는 ... ...
스페이스X 팰컨9 이례적 발사 실패…"
액체
산소 누출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연소가 완전히 이뤄지지 못한 것이다. 스페이스X가 공개한 영상에는 2단 로켓의 측면으로
액체
가 나오며 얼음이 형성되고 덩어리들이 떨어져 나가는 모습이 담겼다. 2단 로켓은 원래 계획대로 스타링크 위성을 내보냈지만 위성들은 목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고도 135km 궤도 수준에 머물렀다.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이유는 수압 파쇄다. 수압 파쇄는 지하에 매장된 자원을 추출할 때 쓰는 기술로 고압의
액체
로 땅을 파는 방식이다. Nature, inducedearthquakes 제공 인공지진의 위험에서 한국도 자유롭지 않습니다.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반도 내 관측 사상 역대 두 번째로 강한 규모였고 피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