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리소좀 질환 해결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9
한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리셋이 없으면 리소좀은 효소가 고갈돼
세포
외 단백질을 소화하는 능력을 상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두 연구는 리소좀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언스는 “두 연구는 리소좀 효소의 효율적 수송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샤플리스 교수는 클릭 화학(Click Chemistry) 개발에 대한 공로로, 버토지 교수는 이를
세포
와 생명체에 적용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공헌을 했다. 항암제 개발 및 면역 조절에 관련된 다양한 신약 개발에 중요한 공헌을 해 왔다.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유기물(화합물)을 연결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데 클릭화학으로 둘을 결합시켜 특정 암
세포
에 작용하는 신약을 개발할 수 있다"며 "이같은 방식으로 개발된 신약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약물이 벌써 10개 남짓 있으며 신약 개발에 클릭화학을 직접 활용하는 사례는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
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진핵
세포
의 핵과 비슷할 뿐 게놈 복제나 유전자 전사 같은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한다.
세포
호흡을 담당할 미토콘드리아 대응 구조 역시 넣어준 대장균이 진짜 살아있는
세포
이므로 반칙인 셈이다. 그럼에도 이렇게 만든 인공
세포
가 꽤 복잡한 구조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단백질 합성과 대사 활동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페보 소장은 미토콘드리아 DNA로 이런 문제를 극복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크기가 작고
세포
일부 유전 정보만을 담고 있지만 수천 개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염기서열 분석에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해 4만년된 뼈 조각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염기서열을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를 활용한 '혈액 정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혈액
세포
막-자성나노입자를 체외에서 순환하는 환자의 혈액에 반응시키면 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포획한 후 자석으로 꺼내 몸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적혈구나 백혈구 표면에는 병원체를 붙잡아 인체를 보호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결과로, TAS2R46은 사슬이 모두 일곱 차례에 걸쳐
세포
막을 관통해 박혀있다. 이 가운데
세포
밖을 향한 면이 움푹 들어가 있는데, 바로 쓴맛 분자가 들어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밝혀졌다. 스트리크닌이 이 공간에 들어오면 분자의 벤젠 고리 부분이 아래쪽에 놓인 88번째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벤젠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혈관과 림프관이 포함된 인공 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향후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
로 암 모델을 제작해 맞춤형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달 26일 공개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까지 재생할 수 있는 '이 생명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3억2000만 년 전 계통학적으로 분리됐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로 대부분의 핵심 신경
세포
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아홀로틀은 재생의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존재다. 전 세계 30여 개 연구팀이 아홀로틀 재생능력의 비밀을 밝히고 이를 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 ...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초신성의 대폭발로 방출되는 시속 수백만 km의 입자방사선과 고에너지 감마선은
세포
와 유전자, 면역계를 파괴시킬 것이다. 섭씨 수만 도에 이르는 항성 표면온도에서부터 영하 270도에 가까운 심우주 온도까지 엄청난 온도 변화도 목격할 것이다. 따라서 지구 환경을 완벽하게 보존해줄 우주선이나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