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
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팀은 혈액 내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암
세포
들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초정밀 암 진단을 위한 기반 기술로 병원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테라노스틱스에 지난달 1일 공개됐다. ... ...
혈액
세포
, 조혈모
세포
만 만드는 게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유지되는 데 그쳤다. 카마르고 교수는 “몇 개 유전자를 추가해 배아 다분화능 전구
세포
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면 골수 이식을 더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유일한 원숭이두창 치료제 테코비리마트 국내 도입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성장하는 것을 억제한다. 외피가 없으면 바이러스 입자는
세포
에 남아서 다른
세포
로 퍼지거나 감염될 수 없다. 테코비리마트는 지난 2008년 발표된 임상 1상 시험결과에서 바이러스 성장 억제 효과와 함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상 2상 시험은 진행 중이다. 미국 FDA는 ... ...
코로나19로 잃은 후각 찾기 프로젝트 시동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원인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냄새를 감지하는 뉴런과 연결된 코 속
세포
를 공격하는 것이 후각 상실의 원인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 뉴런에서 코로나19 감염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규명됐다.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들을 조사한 결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의대 교수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로 가득찬 핵막을 가진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모
세포
를 분석했다. 구글의 인공지능(AI) 자회사 딥마인드가 지난해 7월 AI 단백질 구조 예측 도구인 ‘알파폴드’의 소스코드를 활용해 핵막공복합체를 구성할 것으로 추정되는 단백질 5종을 발굴했다. 사이언스는 ... ...
첫 감염자 나온지 2년 국민 3명중 1명 감염됐는데…남들 하니 이제서야 후유증 조사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후유증을 유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체내에서 코로나19 특이 T
세포
가 지속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바이러스가 몸속 어딘가에 숨어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병원균’ 지난 5월 26일자에 선공개됐다. 코로나19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후각 ... ...
7월 도입되는 코로나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는 어떤 약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것을 방지한다. 현재 코로나19 경구 치료제 사용 중인 머크(MSD)의 몰누피라비르가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는 것과는 다른 메커니즘이다. 항체치료제이지만 백신처럼 예방용으로 사용된다. 이부실드를 맞아 생긴 항체는 체내에서 6개월 가까이 오래 머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 ...
'그린수소' 생산하는 인공잎 성능·내구성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제공 연구팀은 해조류와 같은 해양식물이 표피층에 하이드로젤을 만들어 표피 안쪽
세포
를 보호하는 것에 착안해 광전극을 하이드로젤로 감싸는 기술을 개발했다. 값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로젤을 광전극에 코팅해 촉매가 잘 떨어져 나가지 않게 한 것이다. 또 광전극 표면에서 부식돼 ... ...
미국·영국서 원숭이두창 확산 억제 위해 천연두 백신 접종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2세대 백신은 시험실에서 조직 배양 시스템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2세대 백신은 사람
세포
에서 복제 가능한 백시니아를 함유하고 있어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3세대 백신은 복제가 불가능한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간에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성질 가진 새 면역
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의철 교수는 “앞으로 NK 유사 T
세포
의 생리와 병리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