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스페셜
"
안
"(으)로 총 2,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기원 예산 이관 논란...혼란에 휩싸인 대학교육
2022.11.23
교육부 장관의 발언도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법 개정과 큰 틀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사
안
을 어떠한 절차도 없이 언론을 통해 일방적으로 통보하듯이 공개해버린 것부터 문제라는 것이 야당의 지적이다. 대학이 지역 사회의 일부라는 지적은 것은 당연한 것이다. 지역에 필요한 신산업의 허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실행력 오른다
2022.11.19
할 수 있는 일이다. 중요한 일일수록 별 생각 없이, 그냥 빨리 해버리는 습관을 기르자. 불
안
이 찾아오기 전에 행동하는 습관이 우리의 성공률을 높여줄 것이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DNA를 분해할 거울상 효소가 없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좀처럼 파괴되지 않고
안
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연못 물에 넣은 현실의 DNA바코드는 하루도 못 가 파괴되는 반면(왼쪽) 거울상 DNA바코드는 1년 뒤에도 온전하다(오른쪽). 각종 시료의 정보를 담은 거울상 DNA바코드가 조만간 널리 쓰이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시행하면 영화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끔찍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서
안
전을 우선시하여 학자들이 스스로 연구범위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1975년 아실로마 컨퍼펀스는 지금까지도 연구윤리의 기준을 보여 준 훌륭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참고문헌 1. 제넨테크 홈페이지. www.gene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언론을 통한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폭로성 보도로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만들어서는 절대
안
된다. ‘보’의 개방‧해체가 능사가 아니다 여름마다 반복되고 있는 ‘녹조’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이 남긴 가장 대표적인 후유증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에 22조 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또는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들은 쥐의 뇌 3차원 지도와 그
안
의 뉴런 연결을 확인한 과정을 발표했다. 한국인 저자도 눈에 띈다.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컴퓨터 모델링과 광유전학 기능적 자기공명영상(ofMRI)으로 뇌의 회로와 기능 장애를 규명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대체로 몸에 크레아틴 농도가 낮다. 과체중 또는 비만인 채식주의자를 보고 ‘고기도
안
먹는데 어떻게 저렇게 살이 쪘을까?’라고 의아해한 적이 있다면 이제 크레아틴 공회전 활성이 낮은 게 한 요인일 수도 있음을 기억하자. 한편 체내 열발생 활성을 높이려고 크레아틴 함량이 높은 음식을 ... ...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
2022.10.29
함께하는 비만 치료를 권한다. 설령 1~2㎏만 감소해도 건강 효과가 크다.” Q. 노력해도
안
빠지는 부위는 어떻게 공략할까. “허벅지나 팔의 상완부는 실제로 초음파로 피부 속을 들여다보면 단단한 조직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의 허벅지 지방은 생식 기능을 위해 필요한 부위이기에,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구상나무를 활용, 복원재료를 확보하고 5년 동
안
키웠다. 금원산 지역 중에서 해발 약 1100m의 북사면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고 2019년 1350본을 심었다. 3년이 지난 2022년 조사 결과 92.7%가 생존해 초기 활착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속적인 관리와 ... ...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운송 수단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는 동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탄소를 처리하는 방
안
을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 기술이 경제성이란 난관을 뛰어넘기 위해선 국제 학계의 국경을 넘어선 협력이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특히 한국에 대해선 "중요한 연구 파트너로 생각한다"고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