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많게는 300마리까지 모여 살지요.정말 산소가 없는 데도 살 수 있어?네. 최근 미국과 독일,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 공동연구팀은 우리가 산소 없이도 18분 동안이나 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연구팀은 일반 쥐와 벌거숭이두더지쥐를 산소 농도가 5%인 곳과 아예 산소가 없는 곳에 두고 관찰했어요.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06
- 예상보다 훨씬 최근에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모 날레디는 2013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인근의 라이징스타 동굴에서 처음 발견된 고인류다.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 리 버거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 존 호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당초 250만~300만 년 전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비결이 뭐야? 코끼리 그것도 밀렵꾼들 때문이에요. 늘 주변을 경계해야 하니까요. 남아프리카공화국 폴 맹거 위트워터스트랜드대 교수팀은 야생 아프리카코끼리가 생활하는 모습을 35일 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아프리카코끼리가 하루에 평균 2시간 자며, 심지어 46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을 때도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06
- 제2의 지구를 찾으려는 시도는 현대 천문학계의 큰 화두다. KMTNet은 천문연이 칠레와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에 각각 설치한 망원경을 이용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탐색하면서 제2의 지구를 찾는 시스템이다.이충욱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약 9분 간격으로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05
- 곧바로 흰개미설을 일축하며 ‘식물 경쟁설’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생명과학과 마이클 크레이머 교수팀은 부족한 자원을 두고 여러 식물이 경쟁하다 보니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패턴이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플로스원’ 2013년 8월 15일자에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3.5km지구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시설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가장 깊은 인공시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위치한 ‘음포넹 금광’이다. 무려 3.5km 지하까지 땅굴이 파여 있다. 이곳은 냉각장치가 있어도 내부 온도가 40℃를 넘는다.205억km지구에서 가장 멀리 떠난 탐사선 13km지구에서 가장 깊이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의 ‘KMTNet’이 그 주인공이지요. KMTNet은 남반구에 위치한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세 곳의 망원경을 한꺼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특히 기존에 관측된 근지구소행성의 특성을 밝히고 주기를 계산하는 일을 맡고 있지요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
- 7월 18~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더반에서 국제에이즈콘퍼런스가 열렸다. 콘퍼런스에 앞서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남아프리카 국립에이즈위원회는 “남아공에서만 매주 약 2000명의 젊은 여성들이 HIV에 감염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매년 38만 명에 달하는 16~24세 여성들이 HIV에 ...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같은 종의 새매라도 사는 지역에 따라 깃털의 색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어요.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해 새매를 관찰하고, 그 지역의 기후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햇빛이 많이 드는 지역일수록 밝은 색 털을 가진 새매가 많이 산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햇빛이 잘 드는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10
- 차이가 났다. 뇌의 크기가 3.5배 가량 커진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공동연구를 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비스바테르스란트대 에드워드 스넬링 교수는 “인류가 진화하면서 뇌가 커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