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아공
공화국
남아프리카
d라이브러리
"
남아프리카공화국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4
2008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워터스랜드대 리 버거 교수가 발견했다. 버거 교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수십km 떨어진 지역을 17년째 탐색하던 화석사냥꾼이었다. 무명까지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그리 유명하지도 않은 평범한 고인류학자였다. 깜짝 놀랄 성과를 낸 적도 없고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
과학동아
l
201503
못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인류가 ‘미’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것을 수집했다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마카판스가트 지역의 3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온 작고 붉은 조약돌은 그런 조건을 만족시킨다.움푹 들어간 부분이 꼭 부조로 만든 사람의 얼굴 모양을 떠올리는 이 돌은, 그 지역에서는 나지 않는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
과학동아
l
201503
인사들이 참석했다. 최신 광학기술로 개발도상국을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표로 참석한 날레디 판도르 과학기술부 장관은 “아프리카 사람들의 70%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며 “정보 격차가 더 벌어지지 않도록 국제사회의 공조가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01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런 황금비율이 우주의 시공간 자체를 만든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대 잰 보이언스 박사와 비트바테르스란트대 프랜시스 새커리 박사는 태양계 내의 행성과 위성, 소행성, 고리의 배열 등 우주 곳곳에 나타나는 나선형을 그 근거로 삼아 이 같은 주장을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01
이용한 중력파 연구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4년까지 호주와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에 전파망원경 3000개를 배치해 집광면적이 1km2인 거대 망원경 시스템을 만들고 이것으로 원시 중력파의 존재를 입증할 신호를 찾아내는 게 연구 목표다.Q. 완벽하게 이해하는 날이 올까지난 100년 동안 ... ...
거북은 복근으로 숨을 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3
남아프리카 카루의 지층에서 ‘유노토사우루스 아프리카누스’ 화석이 발견됐어요.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연구팀은 이 화석을 분석해 초기 파충류와 현재 거북이의 중간 단계 생물이라고 결론 내렸어요. 약 2억 6000만 년 전에 살았던 유노토사우루스는 갈비뼈가 거의 맞닿아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10
불완전하고 중간 종은 멸종하기 쉽다며 반격했지 만, 근거가 빈약했다. 그러나 1938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에서 발 견된 실러캔스를 필두로 미싱 링크라고 할 만한 신종들이 곳곳 에서 나타나면서 진화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PLUS 참조). 특 히 생존 환경이 거의 변하지 않는 심해나 고립된 섬은 중간 종 ... ...
Wild Life 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
과학동아
l
201408
Korea카리스마가 뚝뚝피도 눈물도 없는 냉혹한 킬러가 적의 심장을 노려보고 있는 듯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웨스트 코스트 국립공원의 ‘케이프가다랭이잡이’라는 새다. 목표물을 노리고 있는 것 같지만 실은 수백 마리의 새 중에 자신의 짝을 고르는 중이다.©PETER CHADWICK/Wildlife Exhibition Korea냉혹한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01
있는 걸까.사람도 겨울잠 유전자 갖고 있다답부터 말하자면 후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쿠아줄루-나탈대 생물보존학부의 배리 러브그루브 교수는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를 분석한 결과 겨울잠 능력이 공통조상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2012년 ‘기후에 적응하는 삶 ... ...
3억 5000살 먹은 전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8
이스텐케이프 지역에서 3억 5000만 년 전 데본기 전갈 화석을 발견했어요. 당시
남아프리카공화국
은 곤드와나 대륙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이 화석에 ‘곤드와나 전갈’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곤드와나 전갈은 곤드와나 대륙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육상생물 화석이기 때문에 더욱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