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수 있는 비결이 뭐야? 지느러미 주위에 있는 림프관 덕분이에요. 림프관은 대부분 면역세포가 들어 있는 림프액이 흐르는 통로로만 쓰여요. 그런데 참다랑어는 림프관의 압력을 이용해 지느러미의 움직임을 조절하지요. 참다랑어의 림프관은 등에 있는 중간 지느러미와 항문 쪽에 있는 뒷지느러미 ...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여겨요. 그래서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요.바로 이 면역 반응 때문에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며 가려워진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 ... ...
- [과학뉴스]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비활성시킨 돼지 개발과학동아 l201709
- 인체에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킨 돼지가 개발됐다. 이종 간 장기 이식에 한발 더 가까워질 전망이다.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와 매사추세츠 주 소재 바이오 기업 이제네시스 바이오 사의 루한 양 박사 공동연구팀은 돼지 섬유 아세포의 유전체를 ... ...
- [Issue] 내 똥이 ‘약’이 되는 똥 이식과학동아 l201709
- 상태, 과거 병력, 가족력,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백혈구 수치와 에이즈 바이러스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등 감염 여부, 그리고 대변 속 해로운 균이나 기생충 감염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한다. 비만이거나 고혈압 환자, 변비가 있거나 자주 설사하는 사람도 기증자 명단에서 제외된다. 현재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09
- 부분까지 광범위하게 인정했다. 따라서 유럽 38개국의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암과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등의 유전자 치료 연구에 크리스퍼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C버클리에 특허료를 내야 한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특허권에 대한 정의가 더욱 복잡하다. 유럽에서 크리스퍼 특허 문제를 ... ...
- [Infographic] 소리 없는 아우성, 상처 입은 피부의 면역 전쟁과학동아 l201709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냉장고’를 개발했어요. 백신은 병원균을 약하게 만든 거예요. 약한 병원균을 주사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진짜 병원균에 감염되더라도 질병을 예방할 수 있지요.백신에는 보통 살아 있는 균이 들어있기 때문에 2~8℃를 유지해야 돼요. 그래서 백신 전문 운송 차량으로 운반하지만, 도로 사정이 안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08
- 암세포가 더 많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했다. 자가 암 세포를 체내에 주입해 암에 면역을 갖게 만드는 것을 암 백신이라고 하는데, 톡소포자충에 있는 프로필린과 유사한 단백질이 암 백신의 효과를 높인다는 사실도 알아냈다.유학선 부산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기생충을 그대로 사용하는 ...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과학동아 l201707
- 인상적이었습니다. ‘The most common Vaccine reaction is IMMUNITY(가장 보편적인 백신 반응은 면역이다).’ 물어보니 소아과 의사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백신에 대해 회의적인 말을 했다는 사실에 화가 나서 나왔다고 했습니다. 아이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요. 그땐 그냥 먼 나라 이웃 나라의 이야기로만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07
- 20세기 초만 해도 50세에 불과했던 인류의 수명이 최근 80세 안팎까지 높아진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항생제 개발, 정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백신의 사용이 꼽힌다. 감염병에 의한 ... 2. 백신은 정말 옳다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