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개발돼 있어요. 하지만 20cm 정도로 무척 크지요. 만약 앞으로 세포와 비슷한 수십 나노미터 크기로 줄일 수 있다면, 냉동 인간을 실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요. 뇌를 다른 사람의 몸에 이식하다!뇌는 미래에 다시 깨어났을 때 ‘나’를 인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장기예요. ...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수호신 ‘야누스’와 같아서 야누스로 불리게 되었어요.●nm : 나노미터, 10억분의 1m.마그네슘이 물과 반응하면 수소 방울이 만들어지는데, 야누스는 이 힘을 이용해 앞으로 이동해요. 반대쪽에서는 은 나노입자가 세균의 세포벽과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 안으로 침투해 ...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크기로 작아지면 위험성은 더 커질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어요. 나노 플라스틱은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플라스틱을 말해요. 이렇게 작은 플라스틱은 세포의 막을 통과할 수도 있지요. 만약 독성을 가진 나노 플라스틱이 세포막을 통과해 몸이나 뇌 속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간다면, 건강에 ...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인공 장기를 만드는 일만큼이나 어렵답니다. 세포를 이용해서 굵기가 채 10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미터)가 안 되는 미세한 관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죠.최근 미국 우스터폴리테크닉대학교 글렌 고데트 교수가 독특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시금치 잎을 이용해 혈관을 만들어낸 ... ...
-
- [과학뉴스] 추석 과일엔 ‘나노 코팅’을과학동아 l201709
- ‘나노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식물이 만드는 항균,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을 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수준으로 얇게 코팅해 부패를 막는 기술이다.최인성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폴리페놀이 과일이 가진 철 이온과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해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특성을 이용해 폴리페놀 ...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09
- 게 내키지는 않았지만, 만나러 갔다.학교를 나가는 건 오랜만이었다. 정문을 나가고 채 50미터도 걷지 않아 마고가 불렀다.“하림아.”“어, 어, 마고.”“왜 그렇게 깜짝 놀라는 거야?”“아, 학교 밖으로 오랜만에 나오다 보니까 그런가 봐….”“어쨌든 축하해. 이제 얼마 뒤면 내가 있는 곳으로 ...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09
- 속도로 네 몸에 부딪혔지. 네가, 너의 교복 치마가, 네 가방이, 내 삶의 전부가 시속 60킬로미터로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갔어. 너의 존재도 나의 손가락도 인지하지 못하던 버스는 심하게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자 그제야 문제를 인식하고 비상벨을 울리며 멈췄어. 승객들이 웅성거리던 소리, 차에서 ...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08
- 자동차들의 경기가 열렸다.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영하 268℃의 경기장에서 5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이하 크기의 나노카들이 무려(?) 100nm(0.0001mm)의 트랙을 최대 38시간 동안 달렸다. 나노카들은 지난 2016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분자기계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졌다.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 전자와 ...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개기일식을 관측해서 코로나의 분광스펙트럼을 얻었다. 그런데 분석 결과에서 530.3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의 방출선이 확인됐다. 각각의 원소는 포함하고 있는 전자에 고유한 에너지준위를 가지고 있어서 에너지준위 차이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530.3nm의 파장은 당시까지 ...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08
-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인위적으로 물질 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지름이 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단위인 센서에 물질이 검출되기까지는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걸린다. 김 교수와 임 연구원은 ‘거미줄 구조’와 자성 입자를 이용해 검출 속도를 20배 이상 빠르게 향상시켰다.방향 제시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