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씨방"(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09
- 씨방 없이 씨앗을 겉으로 드러내는 겉씨식물로 진화했고, 그 뒤 아름다운 꽃을 틔운 뒤 씨방 안에 씨앗을 간직하는 속씨식물로 진화했다. 최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은 지구에 처음 나타난 꽃의 모습을 추정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에르베 소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송이를 이루고 있어요. 민들레를 이루고 있는 작은 꽃은 꽃잎, 암술, 수술, 갓털 그리고 씨방으로 이루어져 있지요.꽃을 피우는 식물들은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에 묻어야 열매나 씨앗을 맺을 수 있어요. 이걸 ‘수정’이라고 하지요. 민들레는 벌이나 나비 같은 곤충들이 수정을 돕는 충매화예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11
- 방식으로 진행된다. 가령 인도네시아 대회에서는 현지에서만 나는 과일을 나눠주고 씨방과 씨앗 등의 구조를 분석하게 한 뒤 과일을 액체에 넣어 부력을 측정해 보게 하는 문제가 나왔다. 황 교수는 “학생들은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 가지 소재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 ...
- 참깨 VS 들깨어린이과학동아 l201506
- 꽃받침이 크게 발달했어요. 열매가 들어 있는 들깨 꽃받침에는 4개의 씨방이 있어요. 각 씨방에 들깨가 하나씩 들어 있지요. 열매가 잘 익으면 수확해서 말린 뒤에 털어서 우리가 먹는 들깨 씨앗을 얻어요. 들깨를 볶아서 짜낸 기름을 들기름이라고 한답니다 ...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수정을 하면 약 2주 후에 연두색의 열매가 달려요. 블루베리는 암술 아래 씨가 들어 있는 씨방이 자라 열매가 되는 ‘참열매’랍니다. 아직 익지 않은 블루베리는 청포도처럼 연둣빛이에요. 5월 말에 찾은 농장에는 나무마다 연두색의 블루베리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지요.연두색 블루베리를 잘라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06
- 합니다. 우리나라 에는 포기가 작은 ‘각시투구꽃’, 잎이 3갈래인 ‘세뿔투구 꽃’, 씨방에 털이 없는 ‘그늘돌쩌귀’ 등 사촌 지간인 식물 이 18종류나 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여러해살이 풀 이면서 덩이뿌리는 한 해만 산다는 것입니다. 이듬해엔 약간 옆에 있던 뿌리에서 새싹이 나오지요. 한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자리에 생겨. 씨방이 자라서 열매가 되고, 그 안에는 밑씨가 자라 씨앗이 생기는 거야. 씨방 대신 꽃받침이 갈라지며 열매가 되기도 하는데 배와 사과가 그렇지. 사람들은 씨앗은 못 먹고 과육만 먹는다나 봐.그런데 나처럼 먹을 수 있는 씨앗도 있어. 아몬드, 콩, 도토리, 연꽃 씨처럼 말이야. 이렇게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04
- 꽃가루를 더 많이 묻히려는 전략이었겠지만, 가뜩이나 상하기 쉬운 꿀을 그 중요한 씨방 옆에 두다니. 덕분에 우리는 방부제까지 만들고 있다. 꿀 속에는 꿀을 보존하는 단백질이 50여 가지나 들어 있다. 그래도 바람에 꽃가루 날리는 것보다는 비용 대비 효과가 좋으니 다행이다.옛날, 조상들이 가장 ...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잠깐!과일은 대부분 씨앗을 에워싸고 있는 씨방이 점점 부풀어 오르면서 만들어져요. 씨방은 자라면서 엄청난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과일을 한입 베어 물면 즙이 입안 가득 퍼진답니다. 과일은 씨앗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맛있고 향기롭게 진화했어요.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는 동물이 과일을 먹고 ...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107
- 우리가 살아 있을 때 식물에게 좋은 일 좀 많이 했지. 전 세계 속씨식물(꽃이 피며 밑씨가 씨방 안에 있는 식물) 가운데 20만 종 정도가 곤충 덕분에 꽃가루받이를 하고 있는데, 그 중 85%(17만 종)가 우리 꿀벌의 도움을 받는단다. 꿀벌이 없으면 아예 꽃가루받이를 못하는 종만도 4만 종이나 돼.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