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살"(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가족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생각하다가 시작하게 됐어요. 아빠와 나무판, 화살대, 로프 등을 사서 집에 있는 차고에서 만들었지요. 비록 진짜 우주로 가지는 않지만, 우리는 이 관측 장치를 우리의 우주선이라고 생각해요.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인 ‘로키’의 이름을 따서 ‘로키 레고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물이 모이죠. 그렇게 모인 물은 수직방향으로 다시 바다를 향해 흘러나간답니다(위 사진 화살표).해빈 커습은 세계 곳곳의 해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발견되지요. 단, 국내의 해빈 커습은 사진만큼 굴곡이 뚜렷하진 않답니다.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09
- 앱을 개발했어요. 얼굴의 크기를 줄일지 키울지, 광원과 얼굴의 위치는 어디가 좋은지 화살표로 알려줘요. 100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이 앱으로 찍은 사진이 일반적인 카메라 앱으로 찍은 사진보다 26% 높은 평점을 받았어요. 앞으로 인생샷을 많이 건질 수 있겠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과학으로 국가대표를 돕는다! 한국스포츠개발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지면반력 측정기를 밟으면 누르고 있는 힘이 화살표로 표시되는데, 힘이 셀수록 화살표 길이가 길어진다.만약 두 개의 발판에 양발을 나눠 밟으면, 양발의 힘이 얼마큼 다른지 알 수 있다. 금메달을 완성시키는 스포츠 과학자스포츠 선수들이 이곳에서 단순히 측정만 하고 끝나는 것은 아니에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돌로 만든 구슬을 본떠 만든 ‘홑 단(單)’이 있어요. 야생에서 사냥을 하던 수렵시대에 화살 대신 돌구슬을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지요.두 글자가 합쳐져 돌구슬을 끼워 쓰는 활을 뜻하게 됐어요. 그뒤 ‘탄(彈)’은 돌구슬을 사용하는 활뿐만 아니라 탄알, 튀기다 등도 뜻하게 됐답니다.따라서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6
- 상태인 액체 헬륨이 컵 안쪽의 벽을 타고 올라 바깥쪽으로 흘러 내리고 있다(노란 화살표).컵이 완전히 빌 때까지 이런 움직임이 계속된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사실 더 중요한 특성이 있다. 자성이 없는 보존 입자들은 접촉 상호작용(입자의 상대 위치나 방향에 관계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06
- 예를 들어 저 사람처럼.”노마는 눈을 찡그리고 유청이 가리키는 하늘을 쳐다보았다.화살촉처럼 생긴 우주선 한 대가 대기층 안으로 진입하더니 앤트워프 공항 쪽으로 선회하고 있었다.유청이 말을 이었다.“우주정거장에서 착륙선으로 갈아타지 않고 곧장 지상에 돌입할 수 있는 가변형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늘어나면서 활도함께 휘죠? 늘어난 줄의 탄성과 구부러진 활의 탄성이 합쳐지기 때문에 화살을 멀리까지 날릴 수 있어요.마찬가지로 벼룩이나 메뚜기는 근육의 탄성과 구부러진 외골격의 탄성을 모두 점프를 하는 데 사용해요. 사람이 점프할 때 다리 근육만 이용하는 것에 비해 딱딱한 외골격까지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05
- 만들어 길찾기를 헷갈리게 만든 것이다. 새로운 교통 신호에 따르면 교차로에서는 화살표 하나를 골라서 따라가야 하고, 좌회전이나 우회전은 굽어 있는 선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결국 시민들은 신호를 무시하고 제멋대로 운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재벌 2세 모제스가 시내를 통과해 ... ...
- Part 3. [세 번째 실험] 가마가 생기지 않게 고양이 털 빗기수학동아 l201705
- 고양이 털은 방향도 있고 길이도 잴 수 있어요. 벡터도 크기와 방향이 있는 화살표로 나타내기 때문에 털도 벡터가 될 수 있어요. 즉, 고양이는 벡터가 부드럽게 돋아난 벡터장이지요.푸앵카레는 이 문제의 답을 오일러 지표에서 찾아냈어요. 오일러 지표는 ‘꼭짓점의 개수(v)-모서리의 개수(e)+면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