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살"(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심해에는 위에서 떨어져 내리는 사체만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플랑크톤들이 있어요. 바로 화살벌레 종류나 해파리, 단세포 플랑크톤 등이지요. 이들은 ‘바다눈’이라고 불리는 사체 퇴적물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사체가 빠르게 분해 되도록 도와 준답니다. 양면성, 바다 지배자의 두 얼굴크고 작은 ... ...
- 수면 연구가 ‘ 눙가무니 코고네’어린이과학동아 l201514
- 화살표를 찾아내야만 길을 안내할 수 있다는 거예요. 어쩌죠? 어떻게 화살표 네 개로 화살표 다섯 개를 만들라는 건지 도통 모르겠어요!”미션3 드라큘라 관을 닫아라!문제를 연이어 풀었음에도 눙가무니 코고네는 쉽게 잠들지 못했다. 대신 무언가에 깜짝 놀라며 중얼거리는가 싶더니, 이번엔 눈을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12
- NP 중 P에 속하는 문제다.해밀턴 경로 문제4개의 도시가 있다. 갈 수 있는 비행편은 아래 화살표와 같이 정해져 있다. 이 비행편을 이용해 애틀랜타에서 디트로이트로 가려고 한다.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경유해서 가는 경로(해밀턴 경로)가 존재할 수 있을까(애틀랜타는 A, 보스턴은 B, 시카고는 C,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08
- 통과한 뒤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도는 목성의 중력 영향으로 가속도가 생겨(빨간색 화살표) 방향도 바뀌고 속력도 원래보다 빨라졌다. 같은 방식으로 명왕성에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을 때,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력은 1시간 안에 지구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14km/s까지 빨라졌다.행성 근처에 서서히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08
- 발굴 현장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오염에 노출돼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칼이나 칼집, 화살촉, 청동기 등 금속으로 된 물건과 같이 매장된 경우, 금속이 부식되면서 생긴 녹이 도자기에 스며들어 표면을 변색시킵니다. 기름이나 먹물 등을 담았기 때문에 생기는 오염도 있고, 바닷속에서 발견된 도자기의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6% 정도만 양육행동을 하지요. 그 중 가장 정교한 양육행동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독화살개구리에서 나타나요. 수컷이 올챙이를 등에 업고 다닐 정도로 정성들여 양육하지요. 그러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개구리는 부모와 자식이 대면하는 양육행동을 하지 않아요. 즉, 양육행동으로 부모와 ...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과학동아 l201508
- 재분배하는 문제와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도 제시했다. 각자 가장 선호하는 주택을 화살표로 가리켰을 때 아무도 겹치지 않고 한 바퀴 도는 사이클이 완성되면 거래 후 시장을 떠나게 하는 방법이다.이런 알고리듬은 실제 시장에 반영됐다. 앨빈 로스 교수는 병원들이 의대 졸업생들에게 레지던트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07
- 타구를 이용하면 적에게 몸을 전혀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급박한 순간에 총이나 화살을 쏠 수 있어요. 총안에 비해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가깝거나 먼 적병을 쏠 수 있지요. 또 여장의 모서리(타구)는 비스듬하게 잘려 있어 훨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답니다.만일 여장의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06
- 경보 -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GPS가 한꺼번에 한 방향으로 ‘휘청’하면(화살표) 지진일 확률이 높다. 이때 감지된 지진파(P파)를 계산해 뒤따르는 지진파(S파)의 규모와 위치를 예측한다. 동일본 대지진 시 지진 발생 100초 만에 S파가 도쿄에 도달했는데, 스마트폰 경보 시스템을 ... ...
- [수학특강]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을 모두 가려면?과학동아 l201503
- 1순위, 2순위, 3순위, … 이렇게 정해 놨는데, 다른 경쟁자들은 물론 상대방의 ‘사랑의 화살표’가 어디로 향하는지 알 수 없다. 선호를 모두 고려해 가며 두 명씩 ‘최적의’ 짝을 이루는 일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일상생활에서 ‘짝’을 지을 일은 꽤 많다. 그런데 이를 잘 지으려면 수학이 ... ...
이전123456789 다음